지난해 4분기 임금을 받을 수 있는 일자리 수가 전년 대비 36만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공공부문 일자리 비중이 큰 보건ㆍ사회복지 분야와 일자리 안정자금 수혜를 입은 도소매업 등 정부 재정이 투입된 분야에서 늘어난 일자리만 20만개에 달한다. 건설업, 제조업에서는 11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18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전년 대비 35만9,000개(2.0%) 증가한 1,849만4,000개로 집계됐다.
◇복지ㆍ도소매 늘었지만 제조업ㆍ건설업 계속 감소
산업분류별로 보건ㆍ사회복지 분야의 일자리가 11만4,000개, 도소매업 일자리가 9만2,000개씩 각각 늘었다. 지난해 11월 기준 도소매 생산이 전년대비 1.8% 증가하는 등 경기 요인에다 단시간 근로자들의 고용보험 가입이 늘어난 효과가 함께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월 60시간 이하 초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고용보험 가입 조건이 완화되면서 도소매업, 음식숙박업에서 가입이 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정책으로 제도 활용을 위한 가입도 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건설업 일자리는 전년 대비 9만6,000개 감소했다. 건설업 일자리가 줄어든 영향으로 시설관리, 인력공급 등을 하는 사업임대업종의 일자리도 3만8,000개 줄었다. 제조업 일자리는 1만2,000개 감소했는데 세부적으로는 △자동차(-9,000개) △전자통신(-5,000개) △기타운송장비(-5,000개)의 일자리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건설업 일자리는 지난해 1분기 3만5,000개 감소한 데 이어 2분기(-8만4,000개), 3분기(-11만3,000개) 등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제조업의 경우에도 지난해 1분기에만 소폭(3,000개) 증가했을 뿐 2분기(-1만6,000개), 3분기(-1만2,000개)로 꾸준히 줄어들었다.
◇50~60대 일자리 큰 폭 증가, 재정사업 영향
건설업ㆍ제조업 일자리 감소 영향은 40대 일자리 감소로 이어졌다. 40대 일자리는 3분기(-2만6,000개)에 이어 4분기에도 2만6,000개 감소했다. 감소폭이 큰 업종은 △건설업(-4만1,000개) △제조업(-2만3,000개) △사업임대(-7,000개) 등이다. 박 과장은 “제조업이나 건설업 일자리가 위축되면 사업시설관리, 고용알선, 인력공급 등의 일자리도 동반 감소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일자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연령대는 50대(16만6,000개)와 60대(15만1,000개)다. 3분기에는 전년 대비 2만7,000개 감소했던 30대 일자리는 4분기에는 1만2,000개 증가로 반전했다.
50~60대 일자리 증가는 정부 재정사업 영향이 큰 보건ㆍ사회복지분야에 집중됐다. 박 과장은 “보건ㆍ사회복지분야 일자리 중 50대가 4만4,000개, 60대 이상이 4만5,000개”라며 “보건ㆍ의료 관련 인력 수요가 늘어난 데다 정책적 요인도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박세인 기자 san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