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을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북미 간의 구체적인 협상 진전을 위해서는 (북미 정상회담) 사전에 실무협상이 먼저 열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 정부가 최근 북미간 실무협상 필요성을 언급한 것과 궤를 같이한다. 특히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에 앞서 한국을 찾기로 한 상황이어서 문 대통령의 발언 배경이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살트셰바덴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스테판 뢰벤 총리와의 정상회담 직후 공동기자회견에서 “실무 협상을 토대로 양 정상 간의 정상회담이 이뤄져야 지난번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처럼 합의를 하지 못한 채 헤어지는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미 정상은 여전히 상대에 대한 신뢰를 표명하면서 대화 의지를 밝히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다만 “실무협상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떤 협상이 이뤄질지는 아직 우리가 알 수 없고 말씀드릴 단계도 아니다”라고 밝혔다.
하노이 회담 이후 남북 간 접촉이 있었냐는 질문에는 “지금 남북 간에 다양한 경로로 소통이 이뤄지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과거 정부에서 군사적 핫라인까지 포함한 모든 연락망이 단절된 적이 있었지만, 우리 정부 들어서 남북대화가 재개된 이후에는 남북 간 다양한 경로로 소통이 항상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충분한 실무대화를 통해 정상간 톱다운(하향식) 방식의 비핵화 협상의 성공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6ㆍ12 1차 북미 정상회담 1주년을 즈음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는 등 북미 정상간 톱다운 협상 재개 시그널이 감지되는 상황과 무관치 않다.
정상회담 전 실무협상 방식에 대해서 한미 정상간에는 공감대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김 위원장으로부터 친서를 받은 사실을 공개한 뒤 ‘김정은과의 추가 회담에 대한 계획이나 생각이 있는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나는 추후 어느 시점에 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정상회담 전에 충분한 실무협상을 해 3차 북미 정상회담이 또다시 ‘노딜 정상회담’이 되는 일을 막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스톡홀름=이동현 기자 nan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