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후 10시 40분부터 40분간
하굿둑 상류 3㎞ 바닷물 들어와
바닷물 유입ㆍ유출 따른 영향 파악
부산시는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낙동강 하구의 기수(바닷물과 민물이 섞임) 생태계 복원을 위한 ‘낙동강 하굿둑 운영 실증실험’을 6일 오후 10시 40분부터 40분간 실시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1987년 부산 사하구와 강서구 사이에 건설된 낙동강 하굿둑은 하류지역의 바닷물 유입을 막아 부산, 울산, 경남 등에 안정적으로 생활ㆍ농업ㆍ공업 분야 용수를 공급해왔다. 현재 하굿둑 수문은 낙동강 상류로부터 하류로 흘러내려오는 민물(담수)을 방류하기 위해서만 개방하고 있다.
그러나 하굿둑으로 바닷물(해수)과 민물(담수)이 만나는 낙동강 어귀 기수생태계가 사라지자 바닷물이 유입되게 해 생태계를 복원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됐고, 환경부는 2013년부터 4차례에 걸친 연구를 통해 이를 검토해왔다.
이번 실증실험의 목적은 수문 개방 시 바닷물 유입량과 유입 거리를 예측하기 위해 만든 모형(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것.
6일 오후 10시 40분경 하굿둑 좌안 수문 1기(총 10기 중)를 40분간 개방해 바닷물(해수) 약 50만 톤을 유입시킬 예정이며, 이 경우 해수 유입의 영향은 하굿둑 3㎞이내 지역에만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40분간 개방 이후에는 수문을 닫고, 다음날인 7일 새벽 1시부터는 약 1,600만톤의 물을 하굿둑 하류 쪽으로 신속히 방류할 계획이다.
바닷물 유입 이후 하굿둑 상류 3㎞ 지점에서 염분농도는 약 0.3psu(바닷물 1㎏당 녹아있는 염분의 총량을 g으로 나타낸 것)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2~3일 이후에는 염분 농도가 개방 전인 평균 0.2psu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번 연구를 공동 수행하는 환경부 등 5개 기관은 부산 강서구와 경남 김해시 등 하굿둑 인근 지역 농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 실증실험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일대는 하굿둑 상류 15㎞에 위치한 대저수문을 통해 서낙동강으로 유입되는 물을 농업용수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증실험에 따른 피해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증실험 시 부산시와 한국수자원공사는 현재 운영 중인 염분측정소 외에도 선박, 고정식 염분측정장치 등을 활용, 하굿둑 내ㆍ외측 주요지점의 하천과 지하수의 염분농도와 염분침투 거리를 면밀히 측정(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아울러 환경부 등 5개 기관은 바닷물 유입에 따른 수질 및 수생태계 변화, 민물 방류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 하굿둑 수문 안전성 등 다양한 조사를 통해 수문 개방에 따른 영향을 검토할 예정이다.
송양호 부산시 물정책국장은 “이번 실증실험은 해수유입에 따른 염분침투 모델링의 정확성 검증을 목적으로 ‘낙동강 하굿둑 운영 개선 및 생태 복원 방안 연구용역’에 따라 진행하는 시험개방으로, 하굿둑 상류 취수원 안전뿐만 아니라 인근 농ㆍ어업에 피해가 없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며 “아울러 2020년 12월까지 진행하는 이번 용역과정에서 여러 영향을 꼼꼼히 검토, 대저수문과 우리시의 취수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부분개방을 단계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목상균 기자 sgmo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