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는 우리 사회의 화두가 됐다. 수소경제는 말 그대로 에너지원을 화석연료인 석탄과 석유에서 수소로 바꾸는 미래 경제시스템을 뜻한다. 최근 미세먼지의 한반도 습격이 잦아지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20일 수소자동차 충전소 안전규제를 완화한 것도 수소경제를 국가경제의 기반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전국 자치단체들이 수소차를 관용차로 바꾸는 등 수소산업 육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그러나 줄곧 ‘저탄소 녹색 성장’을 강조해 온 전남도의 수소경제도시 조성을 위한 발걸음은 더디다. 일각에선 수소경제사회 실현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온다.
당장 수소차 보급 현황만 봐도 그렇다. 정부가 올해 수소차 보조금 규모를 4,000대로 책정하고 현재 전국 15곳에 불과한 수소차 충전소를 연내에 30곳(민간 10곳 포함)으로 확대하기로 하는 등 정책 지원을 강화하고 있지만 전남 지역에 보급된 수소차는 달랑 2대뿐이다. 광주시가 지금껏 327대를 보급한 것에 비하면 민망하기 짝이 없는 댓수다. 특히 수소차 대중화를 위해 관용차로 쓸 수소차 21대를 구입한 광주시는 올해 수소버스 6대를 포함해 수소차 456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수소차 보급을 위한 필요조건인 수소충전소도 전남지역엔 단 한 곳도 없다. 반면 광주엔 현재 2곳의 수소충전소가 운영되고 있다. 광주시는 올해 수소충전소 2곳을 추가로 설치한 데 이어 내년에도 4곳을 세우겠다는 계획까지 세워놓고 있다. 현재로선 전남 지역 주민들이 수소차를 사더라도 광주까지 가서 충전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국내에서 수소는 화학단지가 들어선 울산과 충남 서산, 전남 여수에서 생산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전남도는 지리상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전남도는 “정부의 무공해 친환경 자동차 보급 정책에 부응하겠다”며 뒤늦게 수소차 보급과 수소충전소 확충에 나섰다. 수소차 활성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 선점과 일자리 창출, 온실가스 감축 등을 꾀하겠다는 것이다. 도의 계획은 거창하지만 당장 그 효과를 기대하긴 힘들다. 올해 수소차 보급 등과 관련한 예산은 한 푼도 책정해 놓지 않은 탓이다. 도는 내년부터 2023년까지 수소자동차 500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 8곳을 설치하겠다고 했지만 여기에 소요되는 총 사업비(355억원)를 제대로 확보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수소충전소를 설치하더라도 1곳에 연간 2억원이 소요되는 운영비를 전액 도비로 충당해야 하는 것도 부담이다. 이 때문에 전남도 안팎에선 “도가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김봉국(51ㆍ전남 목포시)씨는 “녹색 전남을 외치는 전남도에 보급된 수소차가 2대뿐인 것은 창피한 일”이라며 “전남도가 수소경제사회에 대해 무관심했거나 너무 안이하게 대처한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도 관계자는 이에 대해 “내년에 수소차 20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 2곳을 구축하기 위해 추경예산을 세워 국비확보에 나선 상태”라며 “향후 수소산업 육성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경호 기자 khan@hankookilbo.com 박경우 기자 gwpar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