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이나 천연기념물 제198호인 따오기를 40년 만에 우리나라 하늘에서 볼 수 있게 됐다.
환경부와 문화재청, 경상남도, 창녕군은 따오기를 22일 경남 창녕 우포 따오기복원센터에서 야생으로 방사할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황새목 저어샛과인 따오기는 논과 같은 습지에서 주로 먹이를 찾는 청정 환경의 대표종으로 1979년 비무장지대(DMZ)에서 마지막으로 관찰된 이후 사냥과 농약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등으로 국내에서 자취를 감췄다.
따오기는 동북아시아 전역에 분포한다. 1860년 무렵에는 우리나라에 많은 따오기가 분포한다는 기록이 있다. 1913년에는 서울 북부 지역에서 50마리의 따오기 무리가 발견되기도 했다.
2008년 한중 정상회담 당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따오기 한 쌍을 기증하면서 복원 노력이 시작됐다. 창녕군은 2009년까지 1년간 중국 사육사로부터 기술을 전수받아 독자적인 증식 기술을 개발했다. 2013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수컷 두 마리를 추가로 기증한 것을 계기로 복원 시도가 본격화해 창녕 우포 따오기복원센터가 증식 복원에 헌신한 결과 현재 363마리로 늘어났다.
이번 방사되는 따오기는 40마리로 암수의 비율과 어미새와 새끼새의 비율을 적절히 고려해 선별했다. 이들 따오기는 3개월간 비행훈련, 대인ㆍ대물 적응 훈련, 먹이 섭취 훈련, 울음소리 적응 훈련 등을 받았다.
따오기의 성공적인 야생 적응을 위해 창녕군은 2010년부터 우포늪 일대 국유지를 대상으로 따오기 먹이터와 숲을 조성했고, 방사될 따오기에 위치추적기(GPS)와 가락지를 착용시켜 실시간으로 위치를 파악하는 한편 매일 관찰할 예정이다. 질병에 걸리거나 부상을 입을 경우, 올 12월 창녕 장마면에 완공되는 천연기념물구조ㆍ치료센터에서 응급 대응과 구조ㆍ치료를 할 계획이다.
중국과 일본의 사례를 보면 방사된 따오기는 상당수 폐사할 우려가 있다. 일본에선 2008년부터 지금까지 19차례 방사했는데 3년간 생존율은 40% 수준이었다.
한정우 창녕군수는 “따오기가 자연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가까이 접근해 촬영하거나 서식 환경에 영향을 주는 행동은 피해달라”라고 당부했다.
고경석 기자 kav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