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울산시, 달라진 교통환경에 적극 대처해야]
공업지역 주거단지는 ‘구 시가지’ 중심
집적효과 높일 핵심 생활구심점 없어
40개월째 인구 유출… 컨트롤타워 부재
동부산 부동산업계 울산 손짓하며 ‘활황’
부산~울산~포항의 교통혁명이 될 동해남부선 복선전철 미개통 구간(일광~태화강 37.2㎞, 울산~포항 76.5㎞)의 개통을 앞두고 이를 경제활성화로 승화시키기 위한 지자체의 대책이 주목되고 있다.
울산의 경우 광역 전철시대가 시민의 생활패턴을 크게 바꾸어놓을 정도로 파급력이 있는 만큼 기반시설 확충 등 달라진 교통환경에 적극 대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태화강과 대왕암공원, 장생포 등 우수한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산업도시에 생태관광도시의 색채를 덧씌우고 있는 울산은 동해남부선 개통으로 부산과 경남ㆍ경북권의 관광유입이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편의시설 등 대폭적인 관광인프라 확충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동해남부선이 관통하는 남구와 울주군의 온산국가산업단지, 울산자유무역지역, 울산석유화학단지 일대는 주거단지가 열악해 부산으로의 인구유출이 우려되고 있어 문제다. 공업지역 서쪽 온산ㆍ온양읍에는 회야호와 회야강, 발리온천 등 자연환경이 좋은데도 아쉽게 공해문제 등으로 역세권 배후주거단지 개발이 열악한 상황이다. 청량읍과 덕신리, 온산읍, 온양읍 일대 주거지역은 비교적 낙후된 옛 시가지로 구성된데다, 공원이나 쇼핑ㆍ위락시설 등이 크게 부족해 인구유인 요인이 떨어지고 있다. 그나마 새로 생기는 망양역 일대에 조성중인 망양지구는 지난해 5월 970세대 규모의 신축 아파트단지가 입주한 데 이어 새 아파트단지 1개와 초등학교 1곳이 들어설 예정이나, 중ㆍ고교가 없고 상업시설 등 생활기반시설도 입주민의 기대를 충족시키기엔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온산국가산업단지의 배후주거지인 덕신리 일대도 원룸 등 노후 임대주택 위주다. 따라서 동해남부선과 정관선이 개통될 경우 동부산권으로 이주가 많을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특히 정관신도시에는 월 임대료 10만원 안팎의 값싼 임대주택만 1만여 세대가 넘고, 좌광천과 대규모 수변공원 등 자연경관도 수려한 것으로 평가돼 우려를 더하고 있다. ‘산업단지 배후지이자 훌륭한 자연입지까지 갖춘 이 일대에 왜 주거ㆍ유통ㆍ관광 등 집적효과를 높일 쾌적한 대규모 생활단지를 진작에 조성하지 않았느냐’는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울산은 자동차, 조선 등 주력제조업 성장 둔화와 고용 감소 여파로 2015년 12월 이후 인구유출이 40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의 ‘2019년 3월 국내인구이동’ 자료에 따르면 울산은 1분기(1~3월)에 4만1,055명이 유입되고, 4만4,551이 빠져나가 3,496명이 순유출됐다. 이는 인구 순이동률(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이 -1.2%(전국 0.0%)로, 전국 17개 시ㆍ도 가운데 전북(-1.6%)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순유출 인구 규모는 1월 1,065명, 2월 1,145명, 3월 1,186명 등 3개월 연속 1,000명선을 넘어 지난해 9월(-957명)부터 4개월 연속 1,000명 이하로 떨어지던 둔화세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울산시는 출산보육, 기업환경 변화, 베이버부머, 청년희망도시, 안전도시 등 6개 분야, 28개 계획으로 나눠 다각적인 인구증진대책을 추진 중이나 컨트롤타워 부재로 광역대책 등 시 전체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인구대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가 전국 17개 시ㆍ도 홈페이지에 공개된 공약이행실천계획서 등 공약자료를 평가, 최근 밝힌 자료에서 ‘울산경제를 지탱해줬던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의 위기와 이에 따른 실업율 증가, 인구 감소 등에 대한 대응이 보완돼야 한다’고 지적한 것은 많은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인구 115만을 턱걸이하고 있는 울산이 만의 하나 100만 이하로 떨어질 경우 광역시 체계마저 흔들릴 수 있다. 현재 140만이 넘는 대전시도 세종시로 계속 인구를 뺏기면서 바짝 긴장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부산 쪽 상황을 살펴보면 ‘가능성’의 문제만은 아닌 것 같다. 최근 크게 나아진 교통환경과 생활 인프라를 바탕으로 동부산지역 부동산업계는 ‘불황 속 활황’을 누리고 있다. 일광지역 A부동산중개소 관계자는 “일광신도시 분양을 시작한 이후 하루 10여건의 문의가 오고 있다”며 “석유화학단지 및 온산공단, 원전주변 등 울산시민들도 많이 찾고 있다”고 말했다. 인근 B부동산 측은 “일광신도시에는 공립 유치원 2곳, 초ㆍ중ㆍ고 각 1곳 등 교육 인프라가 갖춰진데다 오시리아관광단지 인접 입지와 동해남부선 개통 기대 등으로 GS자이 33평형대의 경우 8,000만원 넘게 프리미엄이 붙고 있으나 매물이 귀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 동안 울산은 물론 양산ㆍ김해로 인구유출에 시달려 온 부산시의 경우 최근 시역 양끝 경계인 동ㆍ서부산권 개발을 앞세워 겉으로 드러내지는 않지만 잃었던 인구 회복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부산시는 정관신도시 계약자 중 울산지역에서의 유입이 20% 가까이 차지한 것으로 미뤄 동해남부선 개통으로 일광신도시 등 동부산권 일대의 추가 인구유입을 기대하고 있다.
영산대 부동산학과 서정렬 교수는 “동해남부선 개통으로 관광과 쇼핑 등 노선 주변지역의 경제활성화가 크게 기대된다”면서 “하지만 아무래도 인프라가 풍부한 부산권으로 무게 중심이 쏠리지 않을까 관측된다”고 분석했다. 울산발전연구원 정현욱 박사는 “교통환경 개선과 지역개발로 당장 의미 있는 유동인구변화가 발생할지는 두고 봐야 하겠지만, 부ㆍ울고속도로 개통으로 인구 유출을 경험한 울산은 여건 변화에 심각한 고민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부산발전연구원 관계자는 “동해남부선 개통은 동일 생활ㆍ경제ㆍ통근권 현상을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돼 광역화와 함께 상생을 위한 양 도시 간 역할 배분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글ㆍ사진 김창배 기자 kimcb@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