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정부 초대 문체부 장관 퇴임 후 민주당에 2년 만에 복귀]
장관된 뒤 부엉이모임 못 나가… 문정부 힘들 때 방관하면 안돼
모든 갈등 충돌하는 곳이 국회, 어떻게든 타협하고 조정할 것
문재인 정부 초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2년 가까이 일하다 최근 더불어민주당으로 복귀한 도종환 의원(충북 청주흥덕·재선). 파격적인 남북교류로 ‘한반도의 봄’을 주도한 그는 이제 내년 4월 총선을 대비하고 있다. 여당의 ‘중원 민심’을 다잡는 역할도 부여 받았다. 도 의원은 현지민심에 대해 “인사문제와 관련해 실망스러워 하는 말씀들이 많다”며 “교만하지 말라는 민심의 회초리와 질책을 들었다”고 전했다.
그는 지난 2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가진 본보 인터뷰에서 총선전망에 대해 “여당이 지금 상태 (지지)를 유지하기 쉽지 않아 장담 못한다는 의견이 많다”면서 “국민의견과 선택을 예의주시하면서 남은 1년을 비상한 각오로, 겸손하게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베스트셀러 시인인 그는 장관 때도 계속 시를 썼다고 한다. 도 의원은 “입각하기 전 문학지에 발표했는데 정치적으로 해석돼 2년간 발표를 안했다”면서도 “정신없이 일하다 밤에 자기전, 휴일아침 사람으로 돌아오는 짧은 순간이 찾아온다”고 덧붙였다.
_근래 보기 드문 장수 장관이다. 가장 보람 있었던 일은 무엇인가.
“평창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러내 남북 평화공존의 길을 텄다는 점이다. 스포츠와 문화예술이 큰 역할을 한 것이다. 스포츠가 정치에 이용당한 게 아니라 견인하는 역할을 했고 선수들이 크게 기여했다는 의미가 크다. 체육분야 성폭행 문제 해결방안과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이 구체적으로 마련되고 있는데 마무리를 못하고 나와 아쉽다.”
_최근엔 남북 문화ㆍ체육 교류가 주춤하고 있다.
“여러 분야에서 작은 교류에 대한 요청이 여기저기서 많이 들어오는데, 서두르지 않고 질서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다. 북한은 철도문제부터, 정상간에 합의한 것부터 먼저 하자는 입장이다. 그런데 큰 틀에서 비핵화 합의를 바탕으로 연차적으로 해나갈 수밖에 없다. 북미 양측을 설득하고 설명하고 이해시켜야 하는 게 우리 할 일이다. 결국엔 잘 풀릴 것이다.”
_지역을 내려가 보니 충북지역 민심이 어떤가.
“경제가 어렵다는 얘기를 많이 하신다. 최저임금제가 자영업자들을 어렵게 했다는 말씀을 한다. 그럼 제가 설명을 한다. 직원을 고용하는데 부담이 되면 정부가 지원해드리는데 13만원을 지원해 드렸다. 받아간 돈이 2조5,000억원이나 된다고. 그럼 그런게 있었구나 하는데, 대통령과 정부의 말이 바닥까지 안가고 있다.”
_경제가 단기간에 해결될 문제가 아닌 것 같다.
“주력산업의 침체와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쏟아져 나오는 어려움이 있다. 세계경제 침체에다 1인당GDP 3만 달러가 넘어서면 다른 선진국들이 겪었던 것과 똑같다. 실질소득 늘고 가처분 소득 늘어도 당장 식당하고 자영업하는 분들은 최저임금 올려줘야 하니까 화가 나는 것이다. 정부와 공무원은 국민에게 더 많이 친절하게 정책을 설명해야 한다는 점을 3주간 민심을 접하며 느꼈다.”
_부엉이 모임(친문 성향 정치인 모임으로 도 의원이 핵심멤버로 알려져 있다)은 안 하나
“장관 하는 동안 한 번도 안 만났다. 무슨 이상한 모임처럼 보이니까 어떡하겠나. 친한 사람들끼리 밥도 못 먹고 이게 뭔지… 그런데 문재인 정부가 성공해야 나라가 성공하는 거다. 지금은 낮은 행보를 하겠지만, 어려운 상황이 오면 방관하면 되겠나. 정권을 창출한 사람들은 일정 부분 책임을 져야 한다.”
_정치권이 시끄럽다. 차기 원내대표는 야당과 어떤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보나.
“정치는 타협이라고 본다. 모든 갈등이 흘러와 충돌하는 곳이 국회다. 하다가 하다가 안 되는 것들만 국회로 오는 거다. 그래서 어떻게든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여 타협하고 협상하고 조정하는 일이 정치라고 본다. (세 후보 모두) 3선까지 오면서 경험이 있다.”
_수도권과 지방의 격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역인재들이 떠나지 않도록 지방의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중고교때부터 빠져나가는 문제가 있다. 좋은 학교가 세워져야 한다.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면제도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실시되는 측면이 있다. 지방 공공기관도 지역인재 채용비율을 지금보다 더 높은 40%까지 늘릴 필요가 있다.”
강철원 기자 strong@hankookilbo.com
손효숙 기자 sh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