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는 연 1.75%로 동결
한국은행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6%보다 낮췄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8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진행하고 발표한 성명에서 “금년 중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은 1월 전망치(2.6%)를 소폭 하회하는 2%대 중반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은 조사국은 이날 오후 성장률을 비롯한 주요 경제지표 전망치를 수정 발표한다. 앞서 한은은 지난 1월 올해 지표 전망치를 발표하며 성장률 2.6%(종전 2.7%), 월평균 취업자 수 증가폭 14만명(종전 16만명), 소비자물가 상승률 1.4%(종전 1.7%)로 각각 내린 바 있다.
기준금리는 현행 연 1.75%로 유지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이래 세 차례 회의(1월, 2월, 4월)에서 금리 동결 결정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부진하고 대외 여건도 그리 좋지 않은 만큼 지금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지키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달 초 기자간담회에서 “지표상 성장 흐름이 다소 완만해졌고 대외 여건에 따른 하방리스크도 커졌다”고 진단했다.
실제 성장 버팀목 역할을 하던 수출은 지난달까지 4개월 연속 역성장(전년동기 대비)했고, 전반적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 2월까지 11개월 연속 하락했다. 대외적으로도 우리나라의 양대 수출 대상국인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이탈) 등의 악재가 산적한 상황이다. 경기 부진으로 수요가 살지 않다 보니 기준금리 정책의 목표 지표인 물가상승률 또한 올해 1분기 내내 0%대에 그치며 목표치(2%)를 한참 밑돌고 있다.
이에 따라 채권시장 종사자의 97%가 이달 기준금리 동결을 예측(금융투자협회 이달 3~8일 설문조사)하는 등 시장에선 한은이 당분간 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거란 관측이 우세하다.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들의 통화정책이 완화적 기조로 돌아서면서, 한은이 한미 금리차 확대 등을 의식해 금리를 추가로 올려야 할 압박이 완화된 점도 이런 예상을 뒷받침한다. 지난해 11월 기준금리 인상의 명분이었던 ‘금융불균형 해소’도 정부 규제 효과로 가계대출 증가세나 주택가격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필요성이 적어진 상황이다.
이훈성 기자 hs0213@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