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장관 취임 뒤 첫 대외 행보… “北과 가급적 조속히 협의”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상당한 책임감을 갖고 있습니다.”
8일 취임한 김연철 통일부 장관의 첫 대외 행보는 현재 정비 작업이 한창인 화상상봉장 방문이었다. 15일 서울 중구 대한적십자사(한적) 화상상봉장 개보수 현장을 찾은 김 장관은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하신 분이 13만3,000명 정도 되는데 그 중 7만8,000명이 돌아가셨고, 지금 5만5,000명 남아 있는 분들의 평균 연령이 81.5세다. 그만큼 고령 이산가족들에게 가족을 만나겠다는 열망이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김 장관 개인에게도 화상 상봉 재개는 반드시 성사시키고 싶은 일이다. 그는 “제가 2005년 통일부 장관 보좌관으로 근무할 때 처음으로 화상 상봉 합의를 했다”며 “그때 설치했던 시설을 새 장비로 교체하는 게 지금 공사다. 굉장히 감개무량하고 그만큼의 책임감을 느끼기도 한다”고 강조했다.
공사는 이달 말이면 마무리되리라는 게 정부 판단이다. 문제는 2월 말 하노이 회담 결렬 뒤 미국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북한의 소극적 태도다. 김 장관은 “이산가족 면회소의 복구를 통한 상시 상봉, 화상 상봉, 영상편지 등은 평양 남북공동선언의 주요 합의 사항”이라며 “이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통일부도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화상 상봉 성사의 관건도 북한의 자세 전향이다. ‘실제 상봉 행사는 언제쯤으로 예상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남북 간에 협의를 시작하면 통상 사람 찾고 하는 데 40일 정도 소요된다”며 “가능하면 조속한 시일 내 (북측과) 협의를 해 나가야 되지 않을까 한다”고 했다.
대면 상봉을 방불케 할 정도로 화상 상봉 기술은 비약했다. 김병대 통일부 인도협력국장의 안내를 받아 화상상봉용 모니터와 네트워크 장비 등이 설치되고 있는 상봉실 ‘묘향산마루’를 둘러보던 김 장관이 물었다.
“영상 선명도나 이런 걸 시험을….”
그러자 함께 자리한 박경서 한적 회장이 “대단히 발전했다. 자기(김 장관)하고 지금 이야기하는 것처럼 된다”고 대신 대답했다.
“실제 (가동)하기 전에 연동이 되는지 남북 간에 시험해 봐야 하고, 문제 없도록 준비 중이다”(김 국장)
“거의 생생하게 만나는 정도까지 선명도가….”(김 장관)
“그래서 (선명도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김 국장)
“십몇 년 전하고는….”(김 장관)
“완전히 달라.”(박 회장)
정부는 남북 이산가족 화상 상봉 준비를 위해 3일 한적 서울지사에 마련된 5곳 등 국내 화상상봉장 13곳의 개보수 작업에 착수했다. 과거 시설들을 다 뜯어냈고 그 자리에는 최신 장비가 채워진다.
북측 지원용 장비도 이미 다 사놓았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최근 (북측 화상상봉장) 지원 장비 구입 절차가 마무리됐다”며 “조만간 영상 단말기라든가 캠코더 등 품목의 전달 시기나 방법 등에 대해 북측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국내 화상상봉장 개보수와 북측 화상상봉장 장비 지원을 위한 경비 약 31억원을 남북협력기금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최근 의결하고 필요한 물자 구매를 추진해 왔다.
공동취재단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