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지물재생센터 지하화 등 문제 풀자” 요구
경기 고양시가 시내에 몰린 서울시의 주민 기피시설로 인한 갈등 문제를 풀 열쇠로 서울시에 ‘공동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고양지역에는 경계지역 포함해 총 7곳의 서울시 기피시설이 들어섰거나 건립 예정에 있다. 때문에 고양 주민들은 “서울시 기피시설물 피해를 왜 우리가 봐야 하느냐”면서 반발해 왔다.
고양시는 1일 서울시에 ‘공동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고 4일 밝혔다. 공동협의체는 두 지자체 간 갈등을 풀 실무협의체 성격을 띤다.
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가 운영하는 고양지역 내 주민 기피시설(장사ㆍ환경시설)은 벽제승화원(벽제화장장), 난지물재생센터, 서대문구 음식물처리시설 등 5곳이다. 두 지자체 경계에 위치한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예정)까지 더하면 총 7곳이다.
이 중 서울시가 1970년대 덕양구 일대 3만여㎥에 설치한 벽제승화원은 대표적인 주민 기피시설로 꼽힌다. 서울시 하수처리장 4곳 중 하나인 난지물재생센터 역시 주민들이 꺼리는 역외 시설이다.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는 최근 입지를 놓고 주민 민원만 월 평균 5,000건에 달할 만큼 갈등이 첨예하다. 다른 시설들도 건립 이후 30~40년 이상 운영되면서 지역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라는 주민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이런 문제로 두 지자체는 2012년 5월 ‘상생발전 공동합의문’을 마련했다. 당시 벽제승화원 등 일부 시설 이용 시 고양-서울시민간 동등한 혜택 부여, 고양시민 채용 우대 등을 약속했다.
이후 주민 민원은 일부 해결됐다. 하지만 당시 협의체를 통해 해결하기로 한 난지물재생센터 시설현대화 및 지하화, 벽제승화원 공원화와 같은 주민 요구가 뒷전으로 밀리면서 다시금 반발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이재준 고양시장도 “실무부서간 협의로 풀기엔 한계가 있다”며 공동협의체 제안 이유를 밝혔다.
실제 서울시 내 시설에 비해 고양지역 시설에 대한 투자가 부족하다는 주민들의 원성이 높다. 서울시 물재생센터의 경우 2010년부터 수천억 원의 예산을 들여 시설 현대화가 추진되고 있지만, 고양시 난지물재생센터의 시설 개선사업은 후 순위로 밀려 있다는 것이다. 분당 탄천 물재생센터와 비교해도 시설이 열악하다는 게 고양시의 주장이다.
때문에 인근 주민들은 “수십년 간 경제적ㆍ정신적 피해를 봤다”며 법적 소송도 검토 중이다. 고양시는 “주민 요구가 큰 사안의 해결이 늦어지면서 두 지자체가 작성한 ‘공동합의문’마저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고양시는 제1부시장이 참여하는 공동협의체를 구성, 이런 문제를 포함 굵직한 정책 사안을 결정하자고 요구하고 있다. 경기도가 중재자로 참여할 것도 제안했다.
고양시 관계자는 “기피시설 갈등 해소를 위한 오랜 노력에도 불구, 주민 기대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서울시의 전향적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종구 기자 min ju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