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국제표준이 전무한 우리나라가 2030년까지 관련 전체 국제표준의 20% 이상을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제기술표준원은 3일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표준화 전략 로드맵 수립과 이행을 통해 2030년까지 우리나라가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수소기술 국제표준 경쟁력 4위의 선도국가로 진입하게 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진 건설기계 등 연료전지 활용분야를 중심으로 △2022년까지 드론ㆍ굴삭기용 연료전지 5건 △2030년까지 재생전력은 연계한 차세대 연료전지 10건 등 총 15건 이상을 국제표준으로 제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30년까지 수소기술 응용 분야에서 60건 이상의 국제표준이 개발될 전망을 감안하면 우리나라가 5건 중 1건을 차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국제표준에 부합한 국가표준을 마련하고 핵심부품에 대한 KS 인증을 통해 성능과 안전성이 보증된 제품과 서비스를 보급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2022년까지 가정용 연료전지(SOFC) 13건, 2030년까지 드론용 연료전지등 17건 등 총 30건을 인증 품목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수소충전기의 계량기도 오차 평가기술을 정립해 충전 양의 정확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지난 1월 정부는 수소차와 연료전지 등 수소경제를 활성화 하겠다는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수소차, 수소충전소, 고정형 연료전지 분야는 국제표준이 대부분 완료된 상황이고 이들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등록한 국제표준은 하나도 없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해 산업부는 “해외기술을 적용해 제품을 개발할 경우 출시가 지연되거나 후속 기술개발에 불리하기 때문에 우리 기술이 국제표준이 돼야 시장경쟁력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에 이 같은 로드맵을 내놓은 것”이라고 밝혔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 원장은 “시장형성 초기인 수소산업에서, 우리가 강점을 가진 기술들을 국제표준으로 반영하여 세계시장 선점 기회를 갖고, 안전성이 보증된 인증 제품·서비스를 확산해 국민이 안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김청환 기자 ch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