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ㆍ산후조리원 등 집단시설 종사자의 14.8%가 잠복결핵에 감염됐고 그 가운데 10명 중 7명은 치료를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를 받지 않은 이들의 결핵 발병 위험률은 치료를 마친 사람보다 7배나 높았다.
질병관리본부는 7일 잠복결핵감염 검진 범부처 정책토론회를 열어 ‘집단시설 잠복결핵감염 검진사업 결과분석’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이번 연구는 2017년 진행된 집단시설 검진사업 결과를 분석한 것으로, 당시 검진 대상자는 △의료기관 △어린이집 △산후조리원 △사회복지시설 △교정시설(재소자 포함) 종사자와 생애주기별 대상자120만여명이었다.
연구 결과, 중복자료 등을 제외한 85만7,765명 가운데 12만6,600명(14.8%)이 잠복결핵감염 상태(양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양성 비율이 높았다. 특히 20대(2.1%)와 70세 이상(44.4%)의 양성 비율이 42.3%포인트나 차이 나는 등 연령별 차이가 컸다. 잠복결핵감염은 몸 안에 균이 존재하지만 활동하거나 증식하지 않아 결핵이 발병하지는 않은 상태로, 다른 사람에게 결핵을 전파하지는 않는다. 다만 이렇게 결핵균에 감염된 중 10% 가량이 추후 발병하는데 발병 이후엔 다른 사람에게 균을 전파할 수 있다.
집단시설별로는 산후조리원 종사자(33.5%)의 양성비율이 가장 높았고, 교정시설 재소자(33.4%) 사회복지시설 종사자(27.5%) 보건소 내소자(22.0%) 교육기관 종사자(18.3%) 의료기관 종사자(17.3%) 학교 밖 청소년(3.2%) 고등학교 1학년 학생(2.0%)이 뒤를 이었다.
양성 반응자 가운데 31.7%가 치료를 시작했지만 완전히 마친 사람은 76.9%에 그쳤다. 보건소에서 치료받다 중단한 3,477명의 미완료 사유는 부작용(40.8%ㆍ주로 간독성) 비협조(23.5%) 연락두절(14.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잠복결핵을 검사하고 치료하는 것으로 결핵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 한국이 결핵 발병 세계 1위의 오명을 벗어나기 위해선 각 집단시설 소관 부처 차원의 검진 독려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김민호 기자 km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