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제2도시 부산마저… 사망자가 출생아 추월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제2도시 부산마저… 사망자가 출생아 추월

입력
2019.03.04 04:40
수정
2019.03.04 08:25
11면
0 0

작년 8개 시도 인구 자연감소돼 1년 새 지역 수 2배로 ‘도미노’

경북 자연감소는 17배 늘어… 올해 대구ㆍ제주ㆍ광주 추가될 듯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이 지난달 2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에서 2018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잠정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이 지난달 2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에서 2018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잠정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0일 부산 사하구 감정초등학교에서 올해 졸업생 15명을 대상으로 ‘마지막 졸업식’이 열렸다. 1980년 개교한 이후 약 4,100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이 학교는 학생 수가 갈수록 줄어 이달 1일자로 폐교했다. 또 1940년 개교한 강서구 덕도초등학교도 80년 역사를 뒤로 하고 문을 닫았다. 교육부의 ‘지방교육재정알리미’에 따르면 2010~2018년 부산에서 폐교한 초등학교(분교 제외)는 10곳에 달한다. 같은 기간 부산지역 초등학생이 약 16% 감소(17만8,000명→15만3,000명)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전국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 부산을 비롯한 8개 시도에서 사망자가 새로 태어나는 아기보다 많아 인구가 자연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제2도시인 부산이 처음 이름을 올린데다, 불과 1년 새 지역 수가 두 배(2017년 4곳→지난해 8곳) 늘어나는 등 지방의 인구 자연감소 ‘도미노’ 현상이 심상치 않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이들 지역에선 자연감소에 더해 기존 거주민들마저 외지로 빠져나가며, 인구 감소→지역경제 침체→출산 저하의 악순환이 더욱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제2도시 부산마저 자연감소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17개 광역 지자체 중 부산ㆍ충북ㆍ충남ㆍ경남 4개 시도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사망자가 출생아 수를 앞질렀다. 2017년에는 이 같은 인구 자연감소(사망자>출생아) 지역이 강원ㆍ경북ㆍ전북ㆍ전남 4개 시도에 불과했는데, 4곳이 추가되며 1년 새 두 배로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부산은 출생아(1만9,100명)보다 사망자(2만2,600명)가 더 많아 인구가 3,500명 자연 감소했다. 2013~2016년 부산에서 태어난 아기는 사망자보다 매년 3,000~5,000명 가량 많았는데, 2017년 46명으로 추락하더니 결국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이다. 도(道)지역이 아닌 광역시 인구가 자연 감소한 것은 최초다. 충북(-700명) 충남(-1,400명) 경남(-1,500명) 또한 처음으로 자연 감소했다. 당초 통계청은 2017년 ‘장래인구추계’ 당시 경남ㆍ충북은 2020~2024년, 충남은 2025~2029년부터 자연감소가 시작된다고 봤는데 훨씬 앞당겨진 것이다.

일찌감치 자연감소가 시작된 강원ㆍ경북ㆍ전북ㆍ전남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지난해 경북에선 인구가 6,200명 자연 감소했는데, 이는 처음 사망자수가 출생아를 앞지른 2016년(-360명)보다 약 17배 가량 확대된 규모다. 전남(2013년 -930명→지난해 -6,000명) 전북(2016년 -1,360명→지난해 -4,500명) 강원(2014년 -340명→지난해 -3,600명) 또한 자연감소 돌입 이래 감소 폭이 계속 커지고 있다.

[저작권 한국일보] 지난해 지역별 인구 자연증가 - 송정근 기자
[저작권 한국일보] 지난해 지역별 인구 자연증가 - 송정근 기자

◇저출산에 인구유출까지 이중고

인구가 자연 감소해도 외지에서 사람이 유입되면 지역 인구는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늘어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시도별 인구이동’을 분석한 결과, 이들 8개 시도 중 충북ㆍ충남을 제외한 6곳은 들어온 사람보다 빠져나간 사람이 더 많았다. 지난해 전북에선 약 1만4,000명이 순유출 됐고, 경북(-9,200명) 전남(-8,000명) 강원(-3,800명) 또한 수천 명이 외지로 나갔다.

특히 지난해 처음 사망자가 출생아를 앞지른 경남에선 2012년(-2,800명) 이후 7년 만에 5,800명이 이 지역을 빠져나갔다. 조선업 구조조정 여파로 실직자들이 일자리를 찾아 타지로 떠난 것으로 풀이된다. 부산(-2만6,700명)도 순유출 규모가 컸다.

반면 반도체(SK하이닉스 청주공장 등) 석유(현대오일뱅크 대산공장 등) 디스플레이(삼성디스플레이 천안ㆍ아산공장) 관련 대기업과 협력사가 많은 충북(+5,100명)과 충남(+1만명)은 외지인이 많이 유입, 저출산발(發) 인구감소를 상쇄하며 인구가 늘어났다.

◇인구감소→지역경제 침체→출산저하 ‘악순환’

통계청은 올해도 자연감소 지역이 추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출생아가 소폭 사망자를 웃돈 대구(+400명) 제주(+900명) 광주(+1,300명) 등이 ‘후보군’이다.

지방 인구감소의 도미노가 확산되면 소비가 위축되고 지역경제가 가라앉고, 이게 다시 초(超)저출산을 부르는 악순환이 형성될 것으로 우려된다. 또 돌봄ㆍ교육 등 각종 인프라가 붕괴해 이 같은 악순환을 더 부채질할 수 있다.

조영태 서울대 교수는 “아이를 키우기 위해 필요한 어린이집과 사교육은 ‘규모의 경제’가 필수라 지방에선 이런 시설이 부족할 수밖에 없고, 젊은층은 떠난다”고 설명했다. 한 사립대 교수는 “초저출산 문제는 몇 년 내에 해결할 수 없는 만큼 지역별로 산업기반을 육성하고 교육 인프라를 구축해 사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