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1일 도심 수소충전소 설치를 승인하면서 수소연료전지차 인프라 확대에 나섰다. 세계적인 자동차 업체들이 전기차를 내놓고 있는 와중에 수소차 확산에 드라이브를 거는 이유는 뭘까.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13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 출연해 “수소차가 궁극적인 친환경 차량인데다 우리나라가 수소차 기술 선진국”이라며 “정부의 수소차 충전소 인프라 확보는 세계시장 주도권을 확보하는 차원”이라고 분석했다.
수소차는 이름대로 수소를 연료로 한다. 연료 탱크에 있는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결합시킬 때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로 모터를 돌리는 방식인데, 부산물로 물 밖에 나오지 않아 궁극적인 친환경 차량으로 평가 받고 있다.
한국은 이 수소차 기술에서 다른 나라보다 앞서 있다. 현대차는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차 양산 시스템을 갖췄다. 두 번째로 수소차를 개발한 일본의 도요타보다 수 개월 앞섰다. 김 교수는 “전기차 기술에서 선진국을 100이라고 하면 우리는 70, 80% 수준이지만 수소차는 우리가 100이라고 보면 된다”면서 “벤츠나 이런 데서도 이제 수면 위로 올라오기 시작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수소차는 잘 만들고 있지만 문제는 충전 인프라다. 현재 국내 수소충전소는 14곳에 불과하다. 그나마 국내 완성차 업체나 가스 업체들이 프로젝트 성격으로 만든 곳이 많아 일반 소비자들이 수소차를 충전할 수 있는 곳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수소를 얻는 기술도 아직 부족하다. 현재 수소는 원유 정제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채집하거나 천연가스에서 추출해 얻는다. 때문에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쓰는 전기차처럼 아직 완전한 친환경 차라고 부를 수 없다. 공기나 물에 있는 수소를 채집하면서도 경제성을 높인 기술을 확보하는 게 필요한 부분이다.
이런 차원에서 수소차 인프라 확대에 나선 정부의 조치는 “50년 동안 (자동차 시장에서) 선진국을 뒤따라갔던 우리가 수소차를 갖고 주도권을 확보해보자는 측면”이라는 게 김 교수의 해석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수소 추출부터 운송, 충전 등 수소 경제의 모든 분야에서 기업, 정부, 학계 등이 협업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정부는 11일 수소충전소를 올해 86개소로 늘리고, 2022년 310곳, 2040년 1,200곳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수소차 보급 역시 올해 4,000대를 시작으로 2022년 8만1,000대, 2030년 180만대까지 늘릴 방침이다.
허정헌 기자 xscop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