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 비건ㆍ백악관 의전 담당 상대… 협상 주체 모두 국무위로 일원화
6일 평양 의제 협의로 시작된 두 번째 북미 정상회담 준비 실무 협상은 지난해 첫 회담 때처럼 의제ㆍ의전을 조율하는 팀이 동시에 움직이는 투 트랙 속도전이 될 전망이다. 북한은 두 협상 당국자의 소속을 모두 우리 청와대 격인 국무위원회로 일원화할 것으로 보인다.
정상회담 합의문 조율을 위한 북미 간 의제 논의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시기ㆍ장소를 ‘27~28일 베트남’으로 공개한 이날 평양에서 곧바로 착수됐다. 회담까지 남은 기간 3주를 허투루 보내지 않겠다는 양측 의지가 일정에 반영됐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이로 미뤄 의전ㆍ경호 등 실행 계획(로지스틱스) 의논을 위한 채널도 곧 가동될 듯하다.
실무 협상을 이원화하는 건 빠른 시간 내에 결과를 얻어내기 위해서다. 지난해 6ㆍ12 싱가포르 정상회담을 앞두고는 판문점에서 성 김 주(駐)필리핀 미국대사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만나 의제 관련 쟁점 폭을 좁히고, 회담 개최지인 싱가포르에서는 조 헤이긴 미 백악관 부비서실장과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만나 의전ㆍ경호 방식 등을 상의했다.
이번에도 의전 논의에는 ‘백악관 비서실-국무위원회’ 라인이 활용될 공산이 크다는 게 외교가의 분석이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비서실장 격인 김창선 부장을 다시 한 번 내보낼 게 유력하다. 김 부장은 지난해 6월 북미 정상회담은 물론 같은 해 9월 평양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도 의전 실무자 역할을 맡았다. 미측에서는 퇴임한 헤이긴 부비서실장 후임인 대니얼 월시 부비서실장이나 다른 백악관 의전 전문가가 등판할 듯하다.
의제 협의의 경우 북미 모두 선수가 교체됐다. 특히 북한 측 대표의 소속이 미 국무부의 카운터파트인 외무성에서 국무위원회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아직 직책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국무위 소속인 것으로 전해지는 김혁철 전 주(駐)스페인 북한대사가 지난해 8월 임명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를 상대로 비핵화ㆍ상응 조치를 조율하게 된다. 국무위는 2016년 6월 최고인민회의 회의에서 폐지된 국방위원회를 대신해 신설된 최고 권력 기구다. 국정 전 분야를 망라하는 종합 정책결정 기관으로 국가 전반 사업 지도와 중요 간부 임명ㆍ해임, 국가 비상사태 및 전시상태ㆍ동원령 선포 등 막강한 권한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