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도 중국과 일본 경제의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중국은 올해 보다 낮은 6% 초반대 성장이 점쳐지고, 미국과의 무역분쟁이 심화할 경우엔 경착륙(갑작스런 경기 급랭으로 주가 폭락이나 실업자 급증하는 사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반면 일본은 내수와 투자 확대, 일본 주도의 자유무역협정인 ‘포괄적ㆍ점진적 환태평양 동반자협정(CPTPP)’ 발효 등으로 잠재성장률을 뛰어 넘는 성장이 예측됐다.
한국은행은 30일 ‘해외경제포커스, 최근 중국 및 일본의 경제 동향과 2019년 전망’에서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되고 더욱 격화될 경우 미국의 긴축적 통화정책 및 글로벌 경기회복세 둔화 국면과 맞물려 중국은 예상보다 큰 하방리스크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해 6.9%를 기록한 중국 경제성장률은 올해 6.5(IMFㆍOECD)~6.6%(세계은행), 내년에는 6.2~6.3%로 더 낮아질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중 양국이 전체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상대국에 부과할 경우 중국의 2019년 경제성장률은 일각의 분석처럼 5.5% 안팎으로 곤두박질칠 수도 있다는 게 한은 분석이다.
다만 보고서는 “최근 지표 둔화는 공급 부문 개혁과 부채 감축 정책의 영향인 만큼 미중 무역분쟁이 단기간에 해결되면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또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부채비율(54%)이나 재정적자 비율(3분기까지 2.7%)이 다른 국가보다 낮다는 점을 감안하면 경착륙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에 비해 구인난을 겪을 정도로 경제가 활기를 띠고 있는 일본은 내년에도 잠재 성장률 수준(0.8% 내외)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민간소비가 고용상황 호조에 따른 가계의 소득여건 개선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설비투자도 자금 여력이 있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을 중심으로 견조한 증가세가 전망되기 때문이다.
수출도 미중 무역마찰 격화와 글로벌 경기 둔화 등으로 하방 리스크 확대가 예상되지만, 세계 GDP의 13.1%를 차지하는 CPTPP가 30일 발효되고,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EPA)도 내년 2월 1일 발효될 예정이란 게 호재다. 교역국 다변화나 투자기회 확대 등이 가능해 효과적 대응이 가능하다는 게 한은 분석이다.
한편 경기 선순환을 위해 통화정책 완화 기조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부작용이 적지 않다는 비판에 따라 내년에는 일본은행(BOJ)이 출구 전략을 시행할 수 있다는 전망도 배제할 수 없다고 한은은 소개했다.
박민식 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