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법정관리 대상기업 132곳, 1년새 19곳 급증
올해 190개 기업이 기업 구조조정 대상으로 올랐다. 특히 경기 부진이 길어지면서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중소기업이 1년 전보다 19곳이나 급증했다. 금리인상기와 맞물려 앞으로 한계상황에 내몰리는 중소기업이 더 늘어날 것이란 분석에 힘이 실린다.
금융감독원이 11일 발표한 ‘2018년 정기 신용위험 정기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평가 대상 2,952개 기업 가운데 총 190개 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판정됐다. 190곳 중 대기업은 10곳, 중소기업은 180곳이다. 지난해(199곳)보다 9곳 줄었지만 속을 들여다 보면 상황이 심상치 않다. 대기업은 실적 개선에 힘입어 부실징후 기업 수가 지난해보다 15곳 줄었지만, 중소기업은 6곳 늘었다. 특히 중소기업 180곳 중 강도가 약한 구조조정 대상(C등급)으로 선정된 기업은 48곳으로 지난해보다 13곳 줄었지만, 반대로 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없어 사실상 퇴출 대상인 D등급을 받은 기업은 132곳으로 같은 기간 19곳 급증했다.
기업 신용위험평가는 중소기업에 돈을 빌려준 채권은행들이 매년 실시한다. 신용위험등급은 A~D 네 등급으로 나뉘는데, 이 중 C, D 등급이 구조조정 대상이다. C등급은 경영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단 뜻이지만 D등급은 정상화 가능성이 낮아 사실상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크다. 올해 D등급을 받은 중소기업이 늘었다는 건 그만큼 중소기업의 경영 환경이 나빠졌다는 걸 뜻한다.
올해 C, D등급을 받은 기업은 금속가공(22곳), 기계(20곳), 도매ㆍ상품중개(18곳), 부동산ㆍ자동차부품(14곳) 업종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대출+채권)은 2조3,000억원이며 은행권이 1조8,000억원으로 대부분(78.3%)을 차지한다. 은행이 기업 부실로 쌓아야 할 추가 충당금은 2,995억원으로 파악됐다. 다만 은행권의 손실 흡수 여력을 감안할 때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거란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김동욱 기자 kdw1280@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