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은 “정부서비스에 인공지능(AI) 기술적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과 함께 전국에 거주하는 일반국민(만 19~29세) 1,012명을 대상으로 지능형정부 로드맵 수립을 위한 전화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이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설문 조사는 정부의 AI 기술 도입에 대한 국민 선호도와 서비스 추진 방향에 관한 국민 의견 반영을 위해 진행됐다.
이번 설문에 따르면 조사 대상의 85.7%는 이미 AI 개념을 인지한 가운데 △민원신청 및 처리(38.0%)와 △행정정보에 대한 안내(22.1%), △콜센터 등 궁금한 사항에 대한 질의응답(21.7%)을 AI 기술 적용이 필요한 정부 서비스로 꼽혔다.
국민들은 또 이런 지능형 정부서비스가 제공되면 △24시간 어디서나 서비스 이용 가능(41.8%), △대기시간 없는 민원처리(26.9%), △몰라서 받지 못했던 혜택 받기(19.6%) 등을 기대했다.
AI 기술이 우선 도입돼야 할 서비스 분야로는 △의료·복지(30.3%)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주민생활(20.1%), △교통·이동(18.4%), △안전·환경(16%) 등의 순이었다.
이 가운데 의료·복지 세부분야에선 △예방접종·건강검진 안내(22.8%)와 △병원·약국 정보검색 및 예약(22.5%)을 우선 순위로 골랐다. 이어 주민생활에선 △증명서 발급(28.2%), 법률상담(16.9%), 세금정산·납부(16.8%) 등을 선택했다.
또한 교통·이동 분야에선 △교통정보 관련 추천·안내(43.9%)가 1순위로 뽑혔고 △대중교통 예약(20.3%)이 뒤를 따랐다. 안전·환경 세부분야에선 △재난예방·대피 안내(31.1%)가 가장 높았다.
이와 함께 국민들은 궁극적으로 미래의 지능형 정부서비스에서 가장 기대하는 역할로 △몸이 아프거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실시간으로 확인, 도움을 요청하거나 지켜주는 듬직한 동반자(88.5%)를 지목했다. 이외에 △24시간 편리한 도우미(82.9%), △내 상황을 알고 처리해주는 똑똑한 개인비서(75.6%) 등의 모습도 기대했다.
하지만 이런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지능형 정부서비스 이용 시 △개인정보 오·남용(36.9%)과 △부정확한 답변 등 낮은 서비스 품질(33.9%), △어려운 이용방법(14.9%) 등에 대한 우려감도 표명했다.
행안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법과 제도적 고려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국민이 희망하는 정부 서비스의 단계별 실행방안을 정할 계획이다.
정윤기 행안부 전자정부국장은 “국민들이 인공지능 기술의 정부서비스 적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지능형정부로의 발전 필요성이 보다 분명해졌다”며 “앞으로도 전자정부 정책 추진과정에서 국민의 의견을 세밀하게 파악하고 반영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의 표본오차는 ±3.1%p(신뢰수준 95%), 성·연령·지역별 비례배분에 따른 표본에 대한 유.무선 전화 임의걸기(RDD) 방식을 적용했다.
허재경 기자 ricky@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