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생산성본부(KPC, 회장 노규성)는 12일(월) 2018년 2분기 노동생산성 동향(2015=100)을 발표했다.
o 동 분기에는 산업 전반적으로 부가가치의 완만한 증가, 노동투입의 소폭 감소로 인해 노동생산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제조업, 서비스업 모두 ’18년 1분기에 비해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이 다소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o 전산업 노동생산성지수(부가가치 기준)는 ’17년 2분기부터 5분기 연속 전년동기대비 증가했으며, ’18년 2분기에는 전년동기대비 4.0% 상승한 109.0을 나타냈다. 이는 부가가치 2.7% 증가, 노동투입 1.2% 감소에 따른 결과이다.
- 부가가치는 수출의 증가세 확대, 정부지출 및 민간소비 증가에 힘입어 증가했으며, 근로자수 증가(1.1%)에 비해 근로시간이 더 크게 감소하여(-2.3%) 노동투입은 1.2% 감소하였다.
o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지수는 116.2로 전년동기대비 5.2% 증가하여, ’15년 4분기 이후 11분기 연속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요인별로 부가가치는 3.2% 증가한 반면, 노동투입은 1.9% 감소했다.
- 업종별로 가죽‧가방‧신발(15.8%),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15.2%), 의료‧정밀‧광학기기(14.5%), 인쇄‧기록매체(12.9%) 등의 생산성 증가가 제조업 전체의 생산성 향상을 이끌었다.
o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지수는 106.0으로 전년동기대비 3.8% 증가하며 ’17년 4분기부터 3분기 연속 생산성 향상을 이어갔다. 요인별로 부가가치는 3.0% 증가, 노동투입은 0.8% 감소했다.
- 업종별 노동생산성은 예술‧스포츠‧여가(16.9%), 금융‧보험(11.3%), 운수업(6.1%), 협회‧수리‧개인(5.6%), 교육서비스업(4.7%) 등에서 생산성이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참고>
주요국과의 비교
o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은 전산업, 제조업, 서비스업에서 모두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 【 주요국 노동생산성지수 증가율 비교 (’18. 2Q) 】 (전년동기대비, %) 한국미국영국일본1)전산업4.0 (2.5)2)1.31.4N.A제조업5.2 (2.5)0.01.30.3서비스업3.8 (3.1) N.A3)1.80.31) 일본은 산업생산 기준으로 노동생산성을 측정 2) 괄호 안 수치는 산업생산 기준 노동생산성 증가율임 3) 미국은 서비스업 수준에서 별도로 집계한 수치를 발표하지 않으며, 일본은 전산업 수준에서 별도로 집계한 수치를 발표하지 않음 * 출처: 미국 통계국(BLS), 영국 통계청(ONS), 일본생산성본부(JPC) 참고> |
전산업 노동생산성 동향 |
□ (전산업 : 부가가치 기준) 전년동기대비 4.0% 증가한 109.0(2015=100)
◦ (분기별) ’17년 2분기 이후 노동생산성은 5분기 연속 전년동기대비 증가
* 5.8%(’18.1Q) → 4.0%(’18.2Q)로 증가율 둔화(-1.8%p)
◦ (요인별) 부가가치는 2.7% 증가, 노동투입(근로자수x근로시간)은 1.2% 감소하여 노동생산성 증가
- (부가가치) 수출의 전년동기대비 증가세가 확대되었으며(1.6% (`18.1Q) → 4.8%(`18.2Q)), 정부지출 4.8% 증가, 민간소비 2.8% 증가에 힘입어 전산업 부가가치가 2.7% 증가
- (노동투입) 근로자수는 1.1% 증가한 반면, 근로시간은 2.3% 감소하여 노동투입이 1.2% 감소
◦ (산업별) 제조업은 5.2% 증가하였으며, 서비스업은 3.8% 증가
- (제조업) 가죽‧가방‧신발(15.8%),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15.2%), 의료‧정밀‧광학기기(14.5%), 인쇄‧기록매체(12.9%), 석유정제(7.7%), 화학제품(6.3%) 등의 생산성 향상에 힘입어 5.2% 증가
- (서비스업) 예술‧스포츠‧여가(16.9%), 금융‧보험(11.3%), 운수업(6.1%), 협회‧수리‧개인(5.6%), 교육서비스업(4.7%), 사업시설관리‧지원(3.6%) 등의 생산성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3.8% 증가
□ (전산업 : 산업생산 기준) 전년동기대비 2.5% 증가한 106.6
◦ (분기별) ’17년 2분기 이후 노동생산성은 5분기 연속 전년동기대비 증가
* 3.9%(’18.1Q) → 2.5%(’18.2Q)로 증가율 둔화(-1.4%p)
◦ (요인별) 산업생산은 1.2% 증가하고 노동투입은 1.2% 감소
- (산업생산) 의료용물질‧의약품(14.0%),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12.2%), 금융‧보험(7.5%), 하수‧폐기물처리(7.5%), 의료‧정밀‧광학기기(7.5%) 등의 증가에 힘입어 전체 산업생산은 1.2% 증가
☐
◦ (산업별) 제조업은 2.5% 증가하였으며, 서비스업은 3.1% 증가
- (제조업) IT제조(14.8%), 중소(2.8%), 중화학공업(2.2%) 부문의 노동생산성 향상에 힘입어 2.5% 증가
- (서비스업) 예술‧스포츠‧여가(13.5%), 금융‧보험업(13.3%), 운수업(7.0%), 협회‧수리‧개인(5.2%), 하수‧폐기물처리(4.4%) 등의 생산성 향상으로 3.1%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동향 (부가가치 기준) |
□ 전년동기대비 5.2% 증가한 116.2 (2015=100)
◦ (분기별) 제조업 노동생산성은 ’15년 4분기부터 11분기 연속 전년동기대비 증가
* 6.2%(’18.1Q) → 5.2%(’18.2Q)로 증가율 둔화(-1.0%p)
◦ (요인별) 부가가치는 3.2% 증가, 노동투입은 1.9% 감소
- (부가가치) 코크스‧석유정제품(13.3%),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12.6%), 의료‧정밀‧광학기기(12.6%)의 증가에 힘입어 3.2% 증가
* 2.7%(’18.Q) → 3.2%(’18.2Q)로 증가율 확대(0.5%p)
- (노동투입) 기타운송장비(-12.7%), 가죽‧가방‧신발(-10.7%), 섬유제품(-5.1%) 등의 감소로 인해 제조업 노동투입은 1.9% 감소
* -3.4%(’18.1Q) → -1.9%(’18.2Q)로 감소율 둔화(1.5%p)
◦ (업종별) 가죽‧가방‧신발,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 의료‧정밀‧광학기기 등이 상승한 반면 담배, 목재‧나무제품, 기계‧장비 등에서 하락
【 제조업 중분류 업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18.2Q) 】 |
(전년동기대비, %) |
- 생산성 향상 3대 업종: 가죽‧가방‧신발(15.8%),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15.2%), 의료‧정밀‧광학기기(14.5%)
* 가죽‧가방‧신발: 근로자수와 근로시간의 동반 감소로 노동투입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부가가치가 소폭 증가하여 노동생산성 증가
*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 및 의료‧정밀‧광학기기: 근로자수는 소폭 증가하였으나 근로시간이 이보다 더 크게 감소하여 노동투입이 감소한 가운데, 부가가치가 크게 증가하여 노동생산성 증가
【 제조업 생산성 향상 3대 업종 노동생산성 및 요인별 증가율(’18.2Q) 】
노동생산성 | 부가가치 | 노동투입 | |||
근로자수 | 근로시간 | ||||
가죽‧가방‧신발 | 15.8 | 3.5 | -10.7 | -7.9 | -3.0 |
전자부품‧컴퓨터‧ 통신장비 |
15.2 | 12.6 | -2.3 | 0.5 | -2.8 |
의료‧정밀‧광학기기 | 14.5 | 12.6 | -1.6 | 0.3 | -1.9 |
(전년동기대비, %)
- 생산성 하락 3대 업종: 담배(-25.6%), 목재‧나무제품(-10.4%), 기계‧장비(-3.6%)
* 담배 및 기계‧장비: 근로시간 감소보다 더 큰 근로자수 증가로 인한 노동투입 증가와 부가가치의 감소로 인해 노동생산성 감소
* 목재‧나무제품: 근로자수와 근로시간의 동반 증가로 인한 노동투입 증가와 부가가치 감소로 인해 노동생산성 감소
【 제조업 생산성 하락 3대 업종 노동생산성 및 요인별 증가율(’18.2Q) 】
(전년동기대비, %)
노동생산성 | 부가가치 | 노동투입 | |||
근로자수 | 근로시간 | ||||
담배 | -25.6 | -16.2 | 12.6 | 19.1 | -5.4 |
목재‧나무제품 | -10.4 | -8.0 | 2.6 | 0.9 | 1.7 |
기계‧장비 | -3.6 | -0.6 | 3.2 | 3.9 | -0.8 |
【 제조업 업종별 산출 및 노동투입 증가율(’18.2Q) 】
(전년동기대비, %)
주 1) 대각선 위는 노동생산성 향상 업종(15개)이며, 아래는 노동생산성 하락 업종(6개)
2) 괄호안 수치는 노동생산성의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을 의미
서비스업 노동생산성 동향 (부가가치 기준) |
□ 전년동기대비 3.8% 증가한 106.0 (2015=100)
◦ (분기별)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은 ’17년 4분기부터 3분기 연속 전년동기대비 증가하는 양상을 보임
* 6.4%(’18.Q) → 3.8%(’18.2Q)로 증가율 둔화(-2.6%p)
◦ (요인별) 부가가치는 3.0% 증가, 노동투입은 0.8% 감소
- (부가가치) 보건‧사회복지(5.7%), 금융‧보험(5.6%), 출판‧영상‧방송통신(3.3%) 등이 서비스업 부가가치 증가를 견인
* 3.2%(’18.Q) → 3.0%(’18.2Q)로 증가율 둔화(-0.2%p)
- (노동투입) 예술‧스포츠‧여가(-13.0%), 금융‧보험(-5.1%), 협회‧수리‧개인(-4.3%) 등의 감소로 인해 서비스업 노동투입은 0.8% 감소
* -3.0%(’18.Q) → -0.8%(’18.2Q)로 감소율 둔화(2.2%p)
◦ (업종별) 예술‧스포츠‧여가, 금융‧보험, 운수업 등이 상승한 반면 전문‧과학‧기술, 하수‧폐기물처리, 보건‧사회복지업에서 하락
【 서비스업 대분류 업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18.2Q) 】 |
(전년동기대비, %) |
- 생산성 향상 3대 업종: 예술‧스포츠‧여가(16.9%), 금융‧보험(11.3%), 운수업(6.1%)
* 3대 업종 모두 근로자수는 소폭 증가하였으나 근로시간이 이보다 더 크게 감소하여 노동투입이 감소한 가운데, 부가가치가 증가하면서 노동생산성 증가
【 서비스업 생산성 향상 3대 업종 노동생산성 및 요인별 증가율(’18.2Q) 】
노동생산성 | 부가가치 | 노동투입 | |||
근로자수 | 근로시간 | ||||
예술‧스포츠‧여가 | 16.9 | 1.6 | -13.0 | 1.7 | -14.5 |
금융‧보험 | 11.3 | 5.6 | -5.1 | 0.5 | -5.6 |
운수업 | 6.1 | 3.0 | -2.9 | 0.6 | -3.4 |
(전년동기대비, %)
- 생산성 하락 3대 업종: 전문‧과학‧기술(-0.8%), 하수‧폐기물처리(-0.5%), 보건‧사회복지업(-0.1%)
* 전문‧과학‧기술 및 보건‧사회복지업: 근로시간 감소에 비해 근로자수가 크게 증가하여 노동투입이 증가하였으며, 부가가치의 증가가 이에 미치지 못해 노동생산성 감소
* 하수‧폐기물처리: 근로자수와 근로시간이 모두 증가하여 노동투입이 증가하였으며, 부가가치가 이보다 소폭으로 증가하여 노동생산성 증가
【 서비스업 생산성 하락 3대 업종 노동생산성 및 요인별 증가율(’18.2Q) 】
(전년동기대비, %)
노동생산성 | 부가가치 | 노동투입 | |||
근로자수 | 근로시간 | ||||
전문‧과학‧기술 | -0.8 | 3.1 | 4.0 | 4.0 | 0.0 |
하수‧폐기물처리 | -0.5 | 2.5 | 3.0 | 1.1 | 1.9 |
보건‧사회복지업 | -0.1 | 5.7 | 5.8 | 7.9 | -2.0 |
【 서비스업 업종별 산출 및 노동투입 증가율(’18.2Q) 】
(전년동기대비, %)
주 1) 대각선 위는 노동생산성 향상 업종(10개)이며, 아래는 노동생산성 하락 업종(3개)
2) 괄호안 수치는 노동생산성의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을 의미
산업별 부가가치 기준 노동생산성지수 및 증가율 |
(단위: 2015=100, %)
2016 | 2017p | 2016 | 2017p | 2018p | |||||||||||
1/4 | 2/4 | 3/4 | 4/4 | 1/4 | 2/4 | 3/4 | 4/4 | 1/4 | 2/4 | ||||||
전산업 노동생산성 |
101.2 | 104.5 | 99.6 | 101.9 | 101.0 | 102.3 | 97.8 | 104.9 | 102.4 | 113.4 | 103.5 | 109.0 | |||
(1.2) | (3.3) | (0.8) | (2.0) | (1.8) | (0.2) | (-1.8) | (2.9) | (1.4) | (10.9) | (5.8) | (4.0) | ||||
산 출 량 (부가가치) |
103.0 | 106.4 | 97.1 | 103.8 | 102.6 | 108.6 | 100.3 | 106.9 | 106.9 | 111.4 | 102.9 | 109.8 | |||
(3.0) | (3.3) | (3.0) | (3.5) | (2.7) | (2.8) | (3.2) | (3.0) | (4.2) | (2.7) | (2.6) | (2.7) | ||||
노동투입량 (총근로시간) |
101.8 | 101.8 | 97.5 | 101.9 | 101.6 | 106.1 | 102.5 | 102.0 | 104.5 | 98.3 | 99.4 | 100.7 | |||
(1.8) | (0.0) | (2.2) | (1.4) | (0.9) | (2.6) | (5.1) | (0.1) | (2.8) | (-7.4) | (-3.0) | (-1.2) | ||||
제조업 노동생산성 |
103.2 | 109.5 | 100.5 | 103.9 | 103.3 | 104.9 | 102.5 | 110.4 | 107.5 | 118.1 | 108.9 | 116.2 | |||
(3.2) | 6.1) | (3.3) | (3.2) | (4.0) | (2.2) | (2.1) | (6.3) | (4.0) | (12.6) | (6.2) | (5.2) | ||||
산 출 량 (부가가치) |
|||||||||||||||
102.4 | 106.8 | 96.6 | 104.2 | 100.5 | 108.1 | 101.2 | 108.1 | 106.9 | 111.0 | 104.0 | 111.5 | ||||
(2.4) | (4.4) | (2.1) | (2.7) | (1.7) | (2.9) | (4.8) | (3.6) | (6.4) | (2.7) | (2.7) | (3.2) | ||||
노동투입량 (총근로시간) |
|||||||||||||||
99.2 | 97.5 | 96.2 | 100.3 | 97.3 | 103.0 | 98.7 | 97.9 | 99.5 | 94.0 | 95.4 | 96.0 | ||||
(-0.8) | (-1.7) | (-1.2) | (-0.5) | (-2.3) | (0.8) | (2.7) | (-2.5) | (2.3) | (-8.8) | (-3.4) | (-1.9) | ||||
서비스업 노동생산성 | 100.7 | 102.4 | 100.8 | 100.9 | 100.5 | 100.5 | 96.9 | 102.1 | 100.3 | 110.8 | 103.1 | 106.0 | |||
(0.7) | (1.7) | (0.6) | (2.0) | (1.2) | (-0.9) | (-3.9) | (1.2) | (-0.2) | (10.3) | (6.4) | (3.8) | ||||
산 출 량 (부가가치) |
|||||||||||||||
102.7 | 104.9 | 98.4 | 102.6 | 102.8 | 107.0 | 100.0 | 104.6 | 105.5 | 109.6 | 103.2 | 107.7 | ||||
(2.7) | (2.2) | (2.8) | (3.3) | (2.6) | (2.0) | (1.6) | (1.9) | (2.6) | (2.4) | (3.2) | (3.0) | ||||
노동투입량 (총근로시간) |
|||||||||||||||
102.0 | 102.4 | 97.6 | 101.7 | 102.3 | 106.4 | 103.2 | 102.4 | 105.2 | 98.9 | 100.1 | 101.6 | ||||
(2.0) | (0.4) | (2.3) | (1.3) | (1.5) | (3.0) | (5.8) | (0.7) | (2.8) | (-7.1) | (-3.0) | (-0.8) |
1) ( )는 전년(동기)비 증가율임
2) p는 잠정치임
산업별 산업생산 기준 노동생산성지수 및 증가율 |
(단위: 2015=100, %)
2016 | 2017p | 2016 | 2017p | 2018p | |||||||||
1/4 | 2/4 | 3/4 | 4/4 | 1/4 | 2/4 | 3/4 | 4/4 | 1/4 | 2/4 | ||||
전산업 노동생산성 |
101.5 | 103.9 | 101.0 | 101.5 | 100.6 | 102.7 | 99.9 | 104.1 | 101.8 | 110.0 | 103.8 | 106.6 | |
(1.5) | (2.4) | (0.3) | (2.2) | (2.4) | (0.9) | (-1.1) | (2.6) | (1.2) | (7.1) | (3.9) | (2.5) | ||
산 출 량 (산업생산) |
103.3 | 105.7 | 98.5 | 103.3 | 102.3 | 109.0 | 102.4 | 106.1 | 106.3 | 108.0 | 103.2 | 107.4 | |
(3.3) | (2.4) | (2.6) | (3.6) | (3.3) | (3.5) | (4.0) | (2.7) | (4.0) | (-0.9) | (0.8) | (1.2) | ||
노동투입량 (총근로시간) |
101.8 | 101.8 | 97.5 | 101.9 | 101.6 | 106.1 | 102.5 | 102.0 | 104.5 | 98.3 | 99.4 | 100.7 | |
(1.8) | (0.0) | (2.2) | (1.4) | (0.9) | (2.6) | (5.1) | (0.1) | (2.8) | (-7.4) | (-3.0) | (-1.2) | ||
제조업 노동생산성 |
103.2 | 106.6 | 101.3 | 102.7 | 103.2 | 105.7 | 103.4 | 107.3 | 105.5 | 110.3 | 104.0 | 109.9 | |
(3.2) | (3.3) | (2.7) | (3.1) | (4.2) | (3.0) | (2.1) | (4.5) | (2.2) | (4.4) | (0.5) | (2.5) | ||
산 출 량 (산업생산) |
|||||||||||||
102.4 | 104.0 | 97.4 | 103.0 | 100.4 | 108.9 | 102.1 | 105.0 | 105.0 | 103.7 | 99.2 | 105.5 | ||
(2.4) | (1.6) | (1.5) | (2.5) | (1.8) | (3.8) | (4.8) | (1.9) | (4.6) | (-4.8) | (-2.8) | (0.5) | ||
노동투입량 (총근로시간) |
|||||||||||||
99.2 | 97.5 | 96.2 | 100.3 | 97.3 | 103.0 | 98.7 | 97.9 | 99.5 | 94.0 | 95.4 | 96.0 | ||
(-0.8) | (-1.7) | (-1.2) | (-0.5) | (-2.3) | (0.8) | (2.7) | (-2.5) | (2.3) | (-8.8) | (-3.4) | (-1.9) | ||
서비스업 노동생산성 | 100.6 | 102.1 | 101.1 | 101.1 | 100.1 | 100.2 | 97.7 | 102.1 | 99.8 | 108.9 | 103.3 | 105.2 | |
(0.6) | (1.4) | (0.1) | (2.0) | (1.5) | (-1.1) | (-3.3) | (1.0) | (-0.3) | (8.7) | (5.7) | (3.1) | ||
산 출 량 (산업생산) |
|||||||||||||
102.6 | 104.5 | 98.7 | 102.8 | 102.4 | 106.6 | 100.9 | 104.6 | 105.0 | 107.6 | 103.5 | 106.9 | ||
(2.6) | (1.8) | (2.4) | (3.3) | (3.0) | (1.8) | (2.2) | (1.7) | (2.6) | (1.0) | (2.6) | (2.2) | ||
노동투입량 (총근로시간) |
|||||||||||||
102.0 | 102.4 | 97.6 | 101.7 | 102.3 | 106.4 | 103.2 | 102.4 | 105.2 | 98.9 | 100.1 | 101.6 | ||
(2.0) | (0.4) | (2.3) | (1.3) | (1.5) | (3.0) | (5.8) | (0.7) | (2.8) | (-7.1) | (-3.0) | (-0.8) |
1) ( )는 전년(동기)비 증가율임
2) p는 잠정치임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