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태양광 공공 조명(가로등)이 아프리카의 밤을 밝힌다. 한국 기업이 향후 2~3년 안에 100만 개의 가로등을 콩고민주공화국에 설치할 예정이다. 가로등 기둥과 전지, 태양전지판, 램프 모두 한국에서 가져간다. 주요 부품이 모두 한국산이다. 주문 총액이 25억불(2조 8,360억)에 이른다. 지난 4일 한국을 방문한 비타퀴라 콩고민주공화국 농업개발부 장관이 케이시디 글로벌(대표 한상민), 한영전기(대표 조제희)와 직접 계약서를 작성했다. 조명 기기 공급을 맡은 조제희(37) 한영전기 대표는 “단독으로 물량을 소화해내기 힘든 만큼 국내, 특히 콩고와 자매결연을 맺은 인천과 새마을운동의 발상지인 대구 경북에 있는 조명 관련 강소기업과 손을 잡고 싶다”면서 “향후 콩고에 공장도 짓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비타퀴라 장관은 계약서에 서명을 하기 전 일주일 일정으로 경북도청과 문경을 비롯한 경북 지역의 우수 중소기업을 방문해 한국의 발전상을 눈으로 확인했다. 그는 한국 측 인사에게 “자원하나 없는 대한민국이 이렇게 성장한 것이 너무도 놀랍다. 한국인의 우수한 두뇌와 성실성의 결과가 아닐까 생각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계약 체결을 하면서 “한국이 세계적인 자원 부국인 콩고민주공화국의 새로운 성장 파트너가 되었으면 한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그는 이번 계약을 체결하면서 8개 부처 장관들을 일일이 설득해 한국을 사업 파트너로 결정하도록 했다.
첫 번째 상생 파트너가 된 한영전기는 1986년에 설립해 가정용 변압기를 생산하다가 1990년대 초반 공공 조명으로 사업을 변경했다. 중소기업으로는 최초로 한국품질경영대상에서 수상한 바 있고 서울시를 비롯한 관공서와 LH 등에 납품해왔다. 지난해까지 연매출 평균 100억을 유지했다.
이번 계약이 성사되기까지 한상민(44)케이시디 글로벌 대표와 주한 콩고민주공화국 대사관의 역할이 컸다. 한영전기를 콩고민주공화국 대사관 측에 강력 추천한 것도 한 대표였다. 대사관은 한 대표의 추천서를 바탕으로 30년 넘게 한우물만 파온 한영전기의 탄탄한 기술력과 꾸준한 관공서에 납품으로 증명된 품질력, 자체 공장을 보유한 점 등을 들어 사업에 적합한 업체로 보고했다. 한 대표는 현지 조사와 지난 5월에 있었던 MOU체결에도 조 대표와 나란히 콩고로 날아갔다.
현지 조사는 4회에 걸쳐 진행했다. 현지 관리들의 안내를 받아 중국이 무상으로 설치해준 기존의 태양광 가로등을 조사했다. 가로등은 하루 충전에 하루 동안 불을 밝히는데 그치는데다 5개 중 하나 꼴로 꺼져 있었다. 조 대표는 몇 번이나 차를 세워서 직접 장갑을 끼고 가로등 안전기를 열어 제품을 살펴봤다. 이를 지켜본 현지인들이 “이전 사업자들과 너무 다르다. 대표가 직접 장갑을 끼고 이렇게 꼼꼼하게 들여다볼 줄은 몰랐다. 신뢰가 간다”는 평가를 했다. 이들의 의견이 계약 성사에 영향을 미쳤음은 물론이다. 조 대표는 “현지 관리 한 분이 ‘중국인들이 도로를 깔면 2년이 안 돼 흙길과 도로가 구분이 안 된다’고 푸념을 하더라”면서 “품질에 대한 기대에 오히려 자신감과 확신이 생겼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태양광 가로등의 핵심은 에너지 효율인데 기존의 가로등은 하루 충전해서 하루 불을 밝히고 있더라”면서 “한국 대기업에서 생산되는 태양광 패널을 달면 하루 충전으로 4일 동안 불을 밝힐 수 있다”고 말했다. 콩고민주공화국은 80년 동안 벨기에 식민지로 있다가 1960년 독립했다. 70년대까지만 해도 한반도 면적의 11배에 이르는 국토에서 나오는 풍부한 지하자원으로 한국보다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코발트의 경우 콩고가 세계 매장량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도 전체 매장 자원의 1%를 조사한 결과에 불과하다. 식민지 시대 이후 가장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 나라는 중국이었다. 중국은 다양한 무상 지원을 하는 한편 콩고의 지하자원과 다양한 사업권을 따내 왔다. 지금도 중국 외교부에서 가장 먼저 챙기는 국가로 알려져 있다.
콩고는 2012년 국회의사당 건설을 기획하면서 외국 자본을 거절했다. 1억불을 들여 콩고 정부에서 직접 건설할 예정이다. 일종의 경제 독립 선언이었다. ‘광물 식민지’라는 오명을 벗으려는 첫 걸음이었다. 이런 콩고의 움직임은 주변 아프리카 국가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10년 넘게 100회 이상 콩고를 방문한 한 대표는 “콩고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롤 모델로 여기는 중심 국가”라면서 “가로등 사업을 시작으로 다양한 분야에 진출이 가속화하면 다른 나라들에서도 한국에 손을 내밀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크리스토프 구웨이 담보 주한 콩고민주공화국 대사는 “이번 계약은 긴 세월 콩고와 한국을 오가며 신뢰를 쌓은 한 대표의 공이 컸다”면서 “한국 인사들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조만간 루메아 국토해양부 장관과 앙드레 킨부타 킨샤사주 주지사가 한국을 찾아 건설과 관정, 농기계를 비롯해 한국과 손잡을 수 있는 다양한 분야를 물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콩고는 자원이 많고 한국은 특유의 성실성과 꼼꼼함이 뒷받침된 기술력이 있다. 한국이 콩고민주공화국의 경제 성장 파트너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광원기자 jang750107@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