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이 뭉클해지고, 재기할 수 있다는 희망도 보았습니다.”
이희건(62) 경기개성공단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은 3차 남북정상회담 합의문에 개성공단 정상화 내용이 처음 담긴 순간 “일정한 ‘조건’이 달렸지만 개성공단 재개를 명기한 점에서 진일보한 결과”라며 이런 소감을 전했다.
앞선 제1차 정상회담 4ㆍ27 판문점 선언에는 개성공단 사업재개에 대한 부분은 빠졌다.
이 이사장은 20일 한국일보와 통화에서 “개성공단이 폐쇄된 지(2016년 2월) 2년7개월이 지났지만 기업들 대부분은 재 입주를 원한다”며 “새롭게 열린 남북 경협 시대에 개성공단 기업들이 그간 노하우를 바탕으로 선도적 역할을 하길 바란다”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는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국제 대북 제재가 해제될 때까지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며 “다시는 정치권의 통치수단으로 공단이 폐쇄되는 일이 없도록 법 제도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합의문에 대한 아쉬운 속내도 드러냈다. 이 이사장은 “공단 재개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는 분명히 신뢰하지만, 공단 재가동 시점을 못 박지는 않아 기업 입장에선 아쉽고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전면 폐쇄 조치 이후 나락으로 떨어진 입주기업의 현실도 전했다. 이 이사장은 “개성공단 고정자산에 대한 보상은 끝났지만, 아직 개성에 두고 온 생산장비ㆍ원부자재는 물론 영업손실과 수년간 쌓아온 영업권 상실 등 천문학적인 피해는 단 한 푼도 보상 받지 못했다”며 “200개 입주 기업 중 30% 가량이 도산하거나 도산 위기에 놓여 있다”고 밝혔다.
그 역시 개성공단에서 북측 근로자 600명을 둔 남녀 속옷 생산 공장을 운영하던 중 공단 폐쇄로 완제품과 원ㆍ부자재 88톤을 그냥 둔 채 도망치듯 빠져 나왔다.
이희건 이사장은 “정부가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해 뛰고 있지만, 입주 기업에 대해선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며 “대통령의 초법적인 수단으로 기업들이 피해를 본만큼 이들 기업의 재기와 재도전을 위해 정부의 관심과 맞춤형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종구 기자 minju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