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 특사단 평양 갔다 워싱턴 방문
북미 대치 대화 국면으로 전환
#
트럼프 “북미회담 취소” 결정 내리자
文, 김정은과 전격 5ㆍ26 정상회담
북미 싱가포르 정상회담 ‘전기’ 마련
문재인 대통령은 북미관계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대북 특별사절단을 평양에 파견하거나 직접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는 식으로 돌파구를 마련했다. 문 대통령이 31일 평양에 특사를 파견키로 한 것도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관계를 중재하기 위해서다.
문 대통령은 지난 2월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접촉이 급진전된 상황에서 3월 5일 1차 대북 특사단을 파견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당시 “사절단 방북은 이번 평창올림픽에 김정은 위원장이 파견한 김여정 특사 방남에 대한 답방의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형식은 답방이었지만 내용은 2017년 내내 이어졌던 북미 군사적 대치를 대화 국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였다. 이에 특사단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 등은 김 위원장을 만나 북미대화 가능성을 타진하고 비핵화를 설득했다. 실제 김 위원장이 4월 말 남북 정상회담 개최 합의는 물론 “체제 안전이 보장되면 핵을 가질 이유가 없다”며 북미대화에 응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김 위원장과의 대화 의사를 밝히며 6ㆍ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의 전기가 마련됐다.
문 대통령이 직접 중재에 나선 경우도 있다. 6ㆍ12 북미 정상회담에 합의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을 3주도 남겨두지 않은 5월 24일 회담 전격 취소 결정을 내리자, 문 대통령은 같은 달 26일 2차 남북 정상회담 개최로 해법을 마련했다. 2차 남북 정상회담을 마친 뒤 트럼프 대통령은 “6월 12일 북미 정상회담은 바뀌지 않았다”고 회담 재개를 공식화하는 성과가 있었다.
이번 2차 대북 특사 파견 역시 한국 정부가 북미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해야 한다는 판단과, 남북대화를 통해 북미 교착국면을 타개하려는 북한 측 입장이 맞아 떨어지며 성사된 것으로 보인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원 수석연구위원은 31일 “북미 비핵화 협상이 교착 상태에 있고, 북한도 9ㆍ9절을 넘어가면 정책을 재검토할 가능성이 있다”며 “그 전에 우리 정부가 물꼬를 트기 위해 특사단을 파견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지용 기자 cdragon25@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