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제2의 유관순’ 배화여학교 학생 6명, 98년 만에 독립운동 인정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제2의 유관순’ 배화여학교 학생 6명, 98년 만에 독립운동 인정

입력
2018.08.13 16:37
수정
2018.08.13 21:59
24면
0 0

보훈처, 독립유공자 177명 포상

이상룡 선생 손부 허은 여사도

국가보훈처는 오는 15일 제73주년 광복절을 맞아 일제의 감시 속에서 과감하게 3ㆍ1운동을 재현한 배화여학교 6명의 소녀와 무장 독립운동을 지원한 석주 이상룡(李相龍) 선생의 손부 허은(許銀) 여사 등 177명의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포상한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은 박양순ㆍ김경화ㆍ성혜자ㆍ소은명ㆍ안옥자ㆍ안희경 선생이 일본 경찰에 체포, 옥고를 치를 당시 사진. 국가보훈처 제공
국가보훈처는 오는 15일 제73주년 광복절을 맞아 일제의 감시 속에서 과감하게 3ㆍ1운동을 재현한 배화여학교 6명의 소녀와 무장 독립운동을 지원한 석주 이상룡(李相龍) 선생의 손부 허은(許銀) 여사 등 177명의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포상한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은 박양순ㆍ김경화ㆍ성혜자ㆍ소은명ㆍ안옥자ㆍ안희경 선생이 일본 경찰에 체포, 옥고를 치를 당시 사진. 국가보훈처 제공

서울 배화여학교 재학시절 독립만세 운동을 재현했다가 일본 경찰에 붙들린 여학생 6명이 98년 만에 정부로부터 독립운동을 인정받았다.

국가보훈처는 제73주년 광복절을 맞아 일본의 감시 속에서 1920년 3·1 독립만세 운동을 재현한 배화여학교 6명의 소녀와 무장 독립운동을 지원한 석주 이상룡 선생의 손부 허은 여사 등 177명(여성 26명 포함)의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포상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93명(애국장 31명·애족장 62명), 건국포장 26명, 대통령표창 58명 등이다.

‘제2의 유관순’ 김경화·박양순·성혜자·소은명·안옥자·안희경 등 배화여학교 재학생이던 6명은 1920년 3월 1일 학교 기숙사 뒤편 언덕과 교정에서 "조선 독립만세"를 외치다 일본 경찰에 검거돼 재판에 회부됐다. 당시 여학생들은 1년 전의 거족적인 3·1 운동을 재현하기로 치밀하게 사전 준비한 끝에 등교하자마자 기숙사 뒷산과 교정에서 일제히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들은 거의 10대 후반이었으며, 최연소자인 소은명은 16세였다. 보훈처는 "3·1 운동 1주년을 맞아 일제가 만세시위 재현을 우려해 서울 시내 곳곳에서 경계태세를 유지한 가운데 어린 여학생들이 과감하게 결행한 만세시위라는 점이 주목된다"고 평가했다.

'독립군의 어머니' 허은 여사. 국가보훈처 제공
'독립군의 어머니' 허은 여사. 국가보훈처 제공

서간도에서 독립군의 항일투쟁을 도와 '독립군의 어머니'로 불린 허은 여사에게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여사는 16세 때인 1922년 서간도에서 이상룡의 손자인 이병화와 결혼해 1932년 귀국할 때까지 시댁 어른들의 독립운동을 보필하면서, 서로군정서 회의 때마다 독립운동가들의 식사를 챙겼으며 독립군들이 입을 군복도 만들었다. 시조부 이상룡 선생이 남긴 '석주유고', 시부 이준형 선생의 '유서', 허은 여사의 회고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 소리가' 등의 자료에서 공적이 확인되어 이번에 포상자에 포함됐다.

김정현 기자 virtu@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