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새 14곳이나 늘어 89개 지역
철원ㆍ부산 중구ㆍ경주ㆍ김천도 포함
저출산ㆍ고령화로 수도권과 대도시를 제외한 지방은 소멸하고 말 것이란 우울한 전망이 눈 앞의 현실이 되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전국 시군구 10곳 중 4곳이 이미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는 내용을 담은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를 13일 발표했다. 고용정보원은 국가통계포털의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활용해 2013~2018년 전국 228개 시군구와 3,463개 읍면동의 소멸위험지수를 계산했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가임여성인구(20~39세) 수를 같은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고용정보원은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 즉 특정 지역의 노인 인구가 20, 30대 여성 인구의 두 배를 초과하는 곳을 인구 감소로 공동체 붕괴 위험이 있는 ‘소멸위험지역’으로 정의했다.
분석 결과,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 수는 2013년 75개(32.9%)에서 2018년 89개(39.0%)로 증가했다. 강원 철원군(소멸위험지수 0.480)과 부산 중구(0.491), 경북 경주시(0.496)ㆍ김천시(0.496) 4곳이 올해 새롭게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올해 6월 기준으로 소멸 가능성이 가장 높은 상위 5개 시군구는 경북 의성군(0.151), 전남 고흥군(0.161), 경북 군위군(0.169), 경남 합천군(0.171), 경남 남해군(0.179)이다.
2013~2017년 5년간 인구 이동을 분석한 결과, 소멸 위험 읍면동에서는 26만2,000명의 인구 순유출이 발생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17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10만9,000명)와 10대 이하(6만3,000명)가 뒤를 이었다. 젊은층 위주로 인구가 빠져 나가고 있다는 뜻이다.
보고서를 쓴 이상호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최근의 소멸위험지역은 도청 소재지, 산업도시, 광역대도시로 확산되는 양상이며, 최근 지방 제조업의 위기는 지역의 산업기반을 붕괴시키면서 지방의 인구 유출을 더욱 가속화했다”고 분석했다.
이성택 기자 highnoo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