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아프리카 가려운 데 긁어주는 ‘시진핑 머니’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아프리카 가려운 데 긁어주는 ‘시진핑 머니’

입력
2018.07.25 17:50
수정
2018.07.25 22:14
12면
0 0

남아공 브릭스 정상회의 가는 길

세네갈ㆍ르완다ㆍ모리셔스 등

자원 없는 저개발 3개국 순방

경제 개발 최대 난제이자 핵심

전력ㆍ교통 인프라에 대규모 투자

자원 개발 집중 서구와 다른 행보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24일 공동 기자회견을 마친 후 악수하고 있다. 프리토리아=AP 연합뉴스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24일 공동 기자회견을 마친 후 악수하고 있다. 프리토리아=AP 연합뉴스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폴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이 23일 공동 기자회견 중 악수하고 있다. 키갈리=AP 연합뉴스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폴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이 23일 공동 기자회견 중 악수하고 있다. 키갈리=AP 연합뉴스
마키 살(왼쪽) 세네갈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1일 세네갈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다카르=AP 연합뉴스
마키 살(왼쪽) 세네갈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1일 세네갈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다카르=AP 연합뉴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1일부터 아프리카를 순방하고 있다. 핵심 일정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리는 브릭스(BRICS) 정상회의지만, 시 주석은 남아공으로 향하는 길에 세네갈과 르완다를 거쳤고 중국으로 돌아가면서 인도양 섬나라 모리셔스를 방문한다. 세 나라의 공통점은 자원이 희박한 저개발국으로, 중국이 상당한 투자를 하거나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순방에서도 시 주석이 가는 곳마다 막대한 ‘차이나 머니’가 따라갔다. 21일 방문한 세네갈은 아프리카 대서양 연안에서 ‘일대일로(一帶一路ㆍ육상 해상 실크로드)’ 이니셔티브에 서명한 국가가 됐다. 시 주석은 22일 르완다에서 새 도로 건설 사업을 위한 1억2,600만달러 차관 제공에 동의했다. 24일 도착한 남아공에서는 위기에 빠진 남아공 국영 전력회사 에스콤(Eskom)에 28억달러를 투자하는 등 총 147억달러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서구는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행보가 ‘신제국주의’라며 꾸준히 경계심을 드러내 왔다. 지난 3월 아프리카를 방문한 렉스 틸러슨 전 미국 국무장관은 “중국과의 합의에서 주권을 잃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중국이 채무를 활용해 아프리카를 자국의 입맛에 맞게 휘두를 것이라는 투다.

그러나 정작 아프리카 국가들은 생각이 다르다. 일단 중국 관영 금융기관들은 차관 제공 조건이 까다롭지 않고 이자율 등 각종 특혜를 제공했다. 인프라와 제조업 부문에 차관이 집중됐다는 점도 서구의 자원개발 위주 투자와 차이를 보인다. 2016년 주요20개국(G20) 회의에서 중국은 “G20이 아프리카 산업화 지원을 약속한다”는 합의안을 적극 밀어붙였는데, 이 시점에 이미 중국은 아프리카 전력산업에 330억달러, 교통 인프라에 410억달러를 쏟은 상태였다.

중국이 돈을 쏟아 붓고 있는 전력과 교통 인프라야말로 아프리카 경제 개발의 최대 난제이자 핵심 과제다. 내륙 국가가 많은 아프리카 특성상, 교통이 완비되지 않으면 교역도 경제발전도 어렵다. 여전히 아프리카 내 도로 4분의3이 비포장 상태고 6억명 이상이 전력 공급이 없는 곳에서 살고 있다. 아프리카연합(AU)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범아프리카 교통망 구축 계획을 세웠는데, 중국은 ‘일대일로’와 아프리카 교통망 확충의 동반 상승 효과를 기대하며 이에 투자하고 있다. 중국의 투자는 이미 세네갈 다카르에서 차드 은자메나까지 4,500㎞에 이르는 ‘5번 고속도로’ 완공에 기여했다.

중국의 산업 구조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중국의 아프리카 투자를 연구해 온 존스홉킨스대 국제학부 중국아프리카연구소(CARI)의 데버라 브로이티감 교수는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에서 “중국의 임금 상승과 환경 규제 강화 등으로 많은 기업들이 해외로 이동했는데, 이들이 향하는 곳이 임금 수준이 낮고 노동력이 풍부한 아프리카”라고 설명했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10년 전만 해도 국제 분업 구조에서 중국과 경쟁관계였지만, 이제는 중국의 뒤를 쫓아가는 입장이 되면서 ‘중국 모델’을 모방하려 하고 있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한국일보 그래픽팀
한국일보 그래픽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