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한국공항공사 등과 업무협약
10일 공항서 개토식 개최
발굴 유해 유전자 검사도 병행
제주 4ㆍ3사건 당시 많은 도민들이 학살된 후 암매장된 대표적인 비극의 현장인 제주국제공항에서 4ㆍ3 희생자 유해발굴 작업이 10년 만에 재개된다.
제주도와 제주4ㆍ3평화재단, 제주지방항공청, 한국공항공사는 4일 도청 회의실에서 ‘제주국제공항 내 4ㆍ3행방불명 희생자 유해발굴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4ㆍ3유해발굴사업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들 기관은 4ㆍ3유해발굴사업과 관련해 행정지원, 공항 내 인력 및 장비 출입 협력, 현장 발굴 협력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4ㆍ3희생자 유해발굴 사업은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돼 올해 국비 15억6,000만원(유전자 감식비 12억1,300만원, 유해발굴비 3억4,700만원)이 반영됐다.
유해발굴 사업은 오는 10일 제주공항 내 유해발굴 대상지 주변에서 개토제를 시작으로, 11월까지 진행될 계획이다. 유해발굴 대상지는 제주공항 남북활주로 주변 지역을 비롯해 공항 외부 1곳,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와 북촌리, 서귀포시 대정읍 구억리 등 5곳이다.
앞서 4ㆍ3희생자 유해발굴 작업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모두 4차례에 걸쳐 진행돼 400구가 발굴됐다. 이 중 92구의 신원만 확인됐다. 제주공항 내 유해발굴 작업은 2007부터 2008년까지 2년간 진행됐다. 2007년 128구, 2008년 260구의 유해가 발굴됐고, 이 가운데 90구의 신원을 확인했다. 하지만 제주공항 유해발굴에서 제주시 예비검속 희생자들의 유해가 발굴되지 않아 추가 유해발굴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도는 앞서 지난해 12월 제주4ㆍ3연구소에 의뢰해 ‘4ㆍ3행방불명인 유해발굴 예정지 조사용역’을 실시했다. 용역결과 제주공항인 경우 증언자 조사에 따라 5개 지점이 4ㆍ3희생자 암매장지로 추정됐으며, 이 곳에 350여명의 희생자 유해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만 이들 5개 지점 중 2개 지점은 항공기 안전 문제 등으로 발굴이 불가능해 나머지 3개 지점을 대상으로 유해발굴 작업이 진행할 계획이다.
도는 또 유해발굴 사업과 병행해 오는 10월까지 서울대 법의학연구소를 통해 아직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유해에 대한 유전자 검사도 실시할 계획이다.
김영헌 기자 tamla@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