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간 비핵화 협상 본 게임을 앞두고 북미간 기세 싸움이 치열해지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3차 방중을 통해 중국의 대북 후원 역할을 한껏 끌어올리고 있지만, 미국은 중국에 대한 대규모 무역 전쟁 등으로 중국의 대북 입김 차단에 주력하는 모양새다.
당초 이번 주에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에 따른 후속 고위급 회담이 예상됐으나, 북한측이 미국에 아직 답변을 주지 않는 것으로 20일(현지시간) 알려졌다. 미국은 북한에 조속한 협의를 요구하고 있지만 북한이 협의 일정을 미루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 측 협상 대표인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카운트파트도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간 폼페이오 장관의 상대역으로 북미 회담을 조율 해왔던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북측 협상 대표를 맡을 가능성이 크지만, 직책상 리용호 외무상이 나설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북한은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할지 여부와 관련 결단력이고 극적인 선택을 해야 할 상황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볼턴 보좌관은 이날 폭스TV에 출연, “미국은 북한과의 장기 대화를 원치 않는다”며 비핵화와 관련한 북한의 시간 끌기 협상전술을 용인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또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등이 북한과 곧 접촉할 것이며, 미국은 북한으로부터 비핵화의 진짜 증거를 얻기 전까지 제재를 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대표적인 대북 강경파로 분류되는 볼턴 차관보의 언급은 김 위원장의 3차 방중 등으로 북한이 중국의 후원아래 북미 협상에서 주도권을 쥐려는 행보를 보이는 것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로 해석된다.
이에 앞서 헤더 나워트 국무부 대변인도 전날 브리핑에서 폼페이오 장관의 재방북 등 후속 협상 여부에 대해 “현재로서는 어떤 방문 일정도 없다”며 “북한 당국과 접촉하고 있다”고만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도 지난주 북미 정상회담 후 방한에서 기자들에게 "다음 주 언젠 가에는 협상을 시작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했으나, 18일에는 후속협상 등을 위한 방북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너무 늦기 전에"라고만 언급했다.
북한이 시간을 끄는 것은 김 위원장의 3차 방중 때문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의 방중을 통해 중국 지렛대를 부각시킨 뒤 미국과의 협상에 나서는 것이 아무래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의 3차 방중 결과에 따라 후속 회담의 진행 속도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반면, 미국은 중국의 대북 제재 완화 가능성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나워트 대변인은 “사실상 전세계 정책인 최대 압박 캠페인을 중국이 계속 지원하는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2,000억달러(220조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추가 관세 검토를 지시한 것도 대북 제재 완화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의도가 깔렸다는 분석도 나온다.
북미간 고위급 회담 일정과 별도로 싱가포르 회담에서 합의된 미군 유해 송환은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전해졌다. 정확한 송환 일정과 장소는 최종 확정되지 않았으나, 며칠 안으로 북한으로부터 200구 정도의 유해를 받는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고 미 정부 관계자가 CNN 등에 밝혔다. 북한이 비무장지대에 있는 유엔사에 유해를 넘기고 유엔사가 간소한 행사 후 미군에 인도하는 방식이 거론되지만, 백악관이 유해를 직접 수습하기 위해 평양에 특사를 파견할 가능성도 있다고 CNN은 전했다.
워싱턴=송용창 특파원 hermeet@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