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의 차이 잡아낸다” 활용가능성 무궁무진한 생활인구 데이터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인 중구 명동의 주민등록 인구는 지난달 기준 3,432명이다. 말 그대로 명동에 전입신고를 한 뒤 거주하고 있는 인구를 뜻한다. 하지만 이 수치는 평소 서울시민이 목격한 유동인구와 비교해보면 괴리가 크다. 오후 시간대 명동은 자영업 등 경제활동인구와 관광객 등으로 발 디딜 틈이 없다. 실제로 이달 14일 0시 기준 명동 일대에 머문 시민은 8,439명으로 집계됐다. 오전6시 시민 1만4,634명이 몰리기 시작해 오후2시에는 10만3,227명이 운집했다. 오후 11시 1만3,866명으로 인구집계가 끝날 때까지 명동 일대를 찾은 시민의 수는 단 한 번도 주민등록인구보다 적은 적이 없었다.
이처럼 행정부처가 집계한 특정 지역의 인구수는 실제 해당 지역의 활동인구와 큰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서울시와 각 자치구는 행정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워 종종 행정공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같은 맹점을 보완하기 위해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KT와 손잡고 ‘생활인구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생활인구란 ‘특정 시점’ ‘특정지역’에 존재하는 모든 인구를 뜻하는 것으로, 서울에 거주하거나 업무, 관광, 의료, 교육, 쇼핑 등 일시적으로 서울을 찾아 행정수요를 유발하는 모든 인구를 잡아낼 수 있다. 서울시 보유 공공빅데이터와 KT 휴대폰 LTE시그널 데이터를 이용해 1시간 단위로 집계를 낸다. LTE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하루 평균300건, 한 달 평균 8,640건에 이르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정교한 통계치를 얻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올해 3월 나온 첫 분석자료에서 생활인구 데이터와 주민등록인구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해 10~12월 서울을 매일 오간 생활인구는 평균 1,151만명으로 지난해 말 조사한 주민등록인구 1,013만명 보다 138만명이 더 많았다”며 “내국인은 1,090만 명, 외국인은 62만명이었고, 심지어 관광이나 비즈니스 목적의 90일 이하 단기 체류 외국인이 20만여명이라는 것까지 잡아냈다”고 밝혔다. 생활인구데이터는 이 외에도 연령별ㆍ성별 이동경로까지 추적이 가능하다.
아직 걸음마 단계라 현재 실제 행정에는 반영되고 있지 않지만, 생활인구데이터는 향후 행정공백을 메워줄 ‘로우 데이터’로서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 시 관계자는 “출퇴근이나 통학을 위해 경기지역에서 서울시로 유입되는 인구를 분석해 지하철ㆍ버스 등 대중교통 배차간격, 인프라 등을 조정하거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의 이동경로를 파악해 노인 복지시설 입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예를 들면 서울 외 지역에서 살면서 출근이나 통학을 이유로 서울에서 생활하는 사람은 최대 165만명이었고, 경기도가 78.6%, 인천이 10.5% 등으로 집계됐는데 이 같은 유동인구 통계를 토대로 광역버스나 심야버스(올빼미버스)의 노선, 배차 간격 등을 조정할 수 있다는 의미다.
당장 생활인구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시는 지난달 조정교부금 결정 항목에 생활인구 데이터를 활용할지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외부 용역을 맡겨둔 상태다.
김태균 시 정보기획관은 “생활인구 데이터는 특정 지역의 인구가 감소했다고 해서 반드시 행정수요까지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며 “앞으로 이를 국가적으로 활용해 행정조직, 공무원 수 등 행정력의 기준을 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주희 기자 jxp938@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