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66세 이상 일할 수 있는 일본 기업 증가세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66세 이상 일할 수 있는 일본 기업 증가세

입력
2018.06.05 18:48
0 0

후생성조사… 종업원 31명 이상 기업 6.7%

일손 부족에 따른 고령자 활용 확대 전망

일본의 노인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본의 노인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국에 앞서 저출산ㆍ고령화에 따른 일손 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일본에서 이 문제를 근로 의욕을 가진 고령자 고용을 통해 보완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후생노동성이 종업원 31명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희망자 전원이 66세 이상까지 일할 수 있도록 규칙을 바꾼 기업이 2017년 기준 6.7%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5일 보도했다. 이는 전년(2016년) 대비 0.9%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최근 5년 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일본의 현행 관련법은 정년 하한을 60세로 정하고 희망자에 대해선 65세까지 고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종업원 규모로는 31~100명 기업의 경우 정년 기준을 높인 비율이 2016년 대비 1.2%포인트 상승한 8.4%를 기록했다. 반면 101~300명인 기업은 3.9%, 301명 이상 기업은 1.9%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 규모가 작을수록 66세 이상 고령자 고용에 보다 적극적인 것이다. 희망자 전원을 70세 이상까지 일할 수 있는 기업도 5.7%로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숙박ㆍ음식서비스업(10.2%)이 가장 많았고, 이어 운수ㆍ우편업(8.7%), 건설업(8.2%), 의료ㆍ복지(7.7%) 순이었다. 4년 전인 2013년과 비교할 때 건설업과 의료ㆍ복지 부분에서의 증가률이 높았다. 후생노동성은 “66세 이상까지 계속 고용한 기업 비율은 산업별로 차이가 크고, 특히 일손이 부족한 산업에서 그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들 기업이 66세 이상 고령자의 고용을 확보하기 위해 취한 조치로는 정년 폐지가 42.7%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기업 전체를 기준으로 볼 때엔 정년 폐지를 도입한 기업은 아직도 2.6%에 불과하다. 66세 이상 희망자 전원을 계속 고용한 기업도 5.7%에 그쳤다.

다만 정년을 65세 이상으로 높인 일본 기업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전체 기업의 17.8%로 2005년(6.2%)에 비해 거의 3배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숙박ㆍ음식서비스업이 29.8%로 가장 높았고, 운수ㆍ우편업, 건설업, 의료ㆍ복지 부분이 20%를 넘어섰다. 이들 업종에서는 경기 회복에 따른 청년 채용이 더욱 어려워지면서 고령자 채용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도쿄=김회경 특파원 herme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