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링크, 조작 가능성 낮지만
광고 도배로 사용자 불편 겪기도
세계 최대 포털 구글은 이 방식
인링크는 로딩 시간 짧고
통일된 사용자 UI로 사용 용이
뉴스가 공짜라는 인식 심기도
네이버 국내 검색시장 75% 점유
이대론 드루킹 재발 방지 어려워
한성숙 대표 “아웃링크 고민 중”
‘드루킹 사태’로 또 다시 한번 ‘댓글 조작’의 범죄 장소가 돼 버린 네이버가 25일 댓글 운영 정책 개선안을 내놨다. 하지만 정치권 등에서 요구하는 완전 ‘아웃링크 방식’으로의 전환 조치는 포함되지 않았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우리나라 양대 포털은 뉴스 메뉴에서 기사를 클릭하면 언론사 홈페이지로 접속되는 아웃링크가 아닌 인링크(포털 내에서 기사 표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런 인링크 정책 때문에 뉴스 콘텐츠와 댓글이 네이버로 몰리면서 여론 조작 세력의 타깃이 된다는 지적이 많다. 이런 논란에서 근본적으로 벗어나려면 전면 아웃링크를 도입하면 된다.
그러나 이용자 체류 시간을 늘려 광고 수익을 유지해야 하는 네이버가 인링크 정책을 포기하기는 쉽지 않다. 네이버는 2006년 사용자가 PC 메인 홈페이지에서 뉴스를 검색한 경우 인링크와 아웃링크 중 선택할 수 있도록 일부 변화를 준 바 있다. 하지만 주요 접속 경로에서는 아웃링크를 찾아보기 힘들다. PC 네이버 메인 화면에서 뉴스 카테고리에 들어가면 모두 인링크로만 뉴스가 노출되고, 모바일 메인이나 검색 결과에 뜨는 기사들도 마찬가지다. 애플리케이션(앱)과 PC에서 아웃링크 방식으로만 뉴스를 제공하는 구글과 대조적이다.
인링크와 아웃링크는 각각 장단점이 있다. 인링크는 짧은 로딩 시간, 통일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이용자의 사용이 쉽다. 하지만 드루킹 사태처럼 조작 위험이 높고 뉴스가 ‘공짜’라는 인식을 심어주게 된다.
아웃링크는 언론사별로 다양한 의제를 설정할 수 있고 조작 가능성이 낮은 반면, 언론사 규모별로 사이트 운용 능력의 차이가 크고, 인터페이스도 제각각이라 사용자가 불편을 겪을 수 있다. 특히 광고로 도배된 일부 언론사 사이트들에 접속해야 하는 점도 문제다.
전문가들은 댓글 조작이 네이버에 집중되는 것은 인링크 방식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뉴스 소비가 네이버에 지나치게 쏠려 있는 우리의 특수한 온라인 언론환경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국내 검색 시장에서 네이버 점유율은 75%에 달한다. 반면 뉴스 이용자 중에서 일주일 동안 언론사 사이트에 단 한번도 접속하지 않은 비중이 PC에서 87.8%, 모바일에서 73.9%다. 결국 국내 온라인 뉴스 독자는 대부분 네이버를 통해 뉴스를 접하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해외와 비교했을 때 언론사 사이트에서 뉴스를 읽는 한국 사용자는 고작 4%로, 1위 핀란드(64%)와 16배나 차이 나고 일본(16%)보다도 크게 뒤처진다.
네이버 출신 정보기술(IT) 업계 관계자는 “감당하기 버거울 정도로 트래픽이 네이버에 쏠려 있다”며 “네이버도 드루킹 같은 부작용을 막기 위해 인공지능(AI) 도입, 이용자 확인 절차 강화 등 기술적 조치를 계속해 왔지만, 감시를 빠져나갈 구멍을 찾아내는 속도가 훨씬 빠르다”고 말했다.
뉴스 댓글을 통한 여론조작 사례가 심각한 정치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는데도 네이버가 인링크를 고수하는 건 보다 많은 사용자가 더욱 오래 머물러야 돈을 버는 플랫폼 사업자의 수익 구조와 무관하지 않다. 특히 네이버에는 뉴스 독자 비중이 높다. 네이버 뉴스 하루 평균 이용자는 1,300만명이다. 댓글을 읽고, 달기도 하고 연관 콘텐츠로 넘어가기도 하면서 머무르는 이들이다. 사용자 체류 시간이 길면 네이버는 화면에 광고를 띄우는 업체로부터 이익을 더 거둘 수 있다. 네이버 연간 광고 매출은 3조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해외 플랫폼 사업자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페이스북도 크게 다르지 않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월 언론사를 비롯한 기업, 브랜드 등의 페이스북 계정 내 콘텐츠가 이용자에 직접 노출되는 빈도를 줄이겠다고 말했다. 페이스북 자체 앱 안에서 사용자들이 인링크로 정보를 접하게 하면서, 언론사 등 정보제공자의 계정으로 분산되는 사용자를 줄이겠다는 의도여서, 미국에서도 비판 여론이 높다.
구글의 경우는 검색 사이트에선 아웃링크를 유지하고 있지만, 유튜브의 경우는 플랫폼 내에서 뉴스 소비가 가능하고 댓글도 달 수 있다. 구글 아이디도 무제한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유투브에서도 허수로 구독자 수를 부풀리며 여론을 호도하는 ‘잠재적 드루킹’들이 활동할 가능성이 있다.
김성철 고려대 미디어학 교수는 “25일 내놓은 네이버 대책은 미봉책이지 장기적 해결책이 되지는 못한다”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한 곳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비교하며 보길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가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충족하려는 플랫폼 사업자는 여론조작 위험성을 막아야 할 숙명”이라며 “범죄자들의 속도를 기업이 쫓아가지 못하는 게 문제이므로, 사업자는 문제를 걷어내는 기술 연구개발(R&D)에 보다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지금의 공감 및 비공감과 같이 부작용이 있는 운영 정책을 손질하는 방향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 기회에 뉴스 유통 구조에 대한 건설적 논의가 이어지도록 깊이 있는 연구도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이날 네이버에 항의 방문한 자유한국당 의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우리도 아웃링크 관련해 고민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당사자인 언론과 합의가 전제돼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고쳐야 할 부분이 있다면 고치겠지만 지켜야 할 부분도 있다”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맹하경 기자 hkm07@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