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겉으론 “전면전” 속으론 “타협 모색”
美 관세에 즉각 대등한 조치 불구
향후 美 행보에 따라 시행 여부 결정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폭탄’ 목록 공개에 즉각 미국산 대두와 자동차 등에 대한 보복관세로 맞대응했다. 결코 물러서지 않겠다고 예고했던 대로다. 하지만 시행 시기를 못박지는 않았다. 받은 만큼 돌려주되 전면전 대신 타협을 모색하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중국은 4일 트럼프 미 행정부가 500억달러(약 54조원) 규모의 25% 고율관세 부과 대상 품목 1,300개의 리스트를 발표하자 곧바로 미국산 대두ㆍ자동차ㆍ항공기 등 106개 품목에 25%의 보복관세 부과 조치를 공언했다. 상무부가 미국의 리스트 발표 직후 담화를 통해 “대외무역법 관련 규정에 따라 미국산 상품에 대해 동등한 강도와 규모로 대등한 조치를 곧 취할 것”이라고 경고한 그대로 반격에 나선 것이다.
관영매체들도 일제히 미국을 맹비난하며 정부의 조치를 옹호했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미국의 악랄한 조치에 대해 철저히 되갚아주는 건 국익 수호 차원에서 너무나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환구시보는 미국이 ‘중국제조 2025’에 포함된 품목을 주로 겨냥한 점을 들어 “중국의 제조 선진국 도약을 막으려는 정치적 행위는 응분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면서 “대두와 자동차 등 미국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한 건 적절했다”고 두둔했다.
실제 중국이 이날 보복관세 부과 맞대응 카드로 삼은 미국산 대두와 자동차 등은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겨냥할 수 있는 무기로 꼽혀왔다. 이들 품목이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인 농민들과 제조업 노동자들을 동요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다. 중국은 세계 2위의 미국산 농산물 수입국이고 대두는 미국 전체 생산량의 3분의 1을 소화하고 있다. 미국산 자동차 수입 규모도 지난해 110억달러(약 11조원)로 캐나다에 이어 두 번째였다.
다만 중국은 이번 보복조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면전보다는 타협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복관세 부과 시행 시기를 미국의 행보를 보며 결정하겠다고 밝힌 게 단적인 예다. 이 역시 “앞으로의 상황 전개는 미국에 달려 있다”(인민일보)고 강조해온 것과 같다. 중국이 스스로를 미국과 같은 반열의 ‘G2’로 주장하지만 총체적 국력의 열세가 뚜렷한 만큼 미국이 내달 11일까지 여론수렴 기간을 거치는 만큼 협상을 통한 타협의 여지를 남겨둔 것이다.
베이징=양정대 특파원 torc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