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당나귀ㆍ목재… 세계 자원 싹쓸이하는 중국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당나귀ㆍ목재… 세계 자원 싹쓸이하는 중국

입력
2018.03.19 14:31
16면
0 0

소비수준 급팽창… 자원 남획

‘묘약’ 아교 얻으려 약재상 몰려

케냐에서만 1000마리 도난당해

국제사회 원양어선 규제 요구엔

어선 대형화 추진 꼼수 쓰기도

중국 원양어업 생산량. 신동준 한국일보 기자.
중국 원양어업 생산량. 신동준 한국일보 기자.

“전세계 천연 자원 고갈 문제는 중국이 당면한 차기 과제다.”

2015년 2월 미국 외교전문지 ‘더 디플로맷’은 중국의 무분별한 자원 개발ㆍ소비 행태를 고발했다. 하지만 3년이 지난 지금도 중국은 아프리카,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세계 자원을 빠르게 소진시키고 있다.

19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13억 인구의 급팽창한 소비수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중국 자본의 자원 남획이 갈수록 격화하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2016년 200만톤이었던 중국 원양어선의 연간 어획량이 2020년 230만톤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세계 여론의 비판에도 불구, 중국 정부가 자국 선단에 보조금을 지급하면서까지 어획량을 높이기로 했기 때문이다.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활동가 볼레이 류는 “원양 어선을 새로 건조하는 등 중국 지방 정부들이 원양어업 확대에 대한 야욕을 계속해서 드러내고 있다”며 “중국이 국제적 이미지 손상을 막고자 한다면 원양 어업에 대한 긴급한 제동을 걸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중국 어선들이 지난해 말 전북 군산 어청도 인근 해상에서 불법 조업을 시도하고 있다. 군산=연합뉴스
중국 어선들이 지난해 말 전북 군산 어청도 인근 해상에서 불법 조업을 시도하고 있다. 군산=연합뉴스

중국의 자원 싹쓸이는 바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불법으로 벌목한 목재들이 대거 중국으로 수출되면서 지구촌 곳곳에서 보존돼야 할 숲들이 파괴되고 있다.

태국 방콕포스트는 지난 1월 말 태국 사정당국이 불시 단속을 벌여 불법으로 벌채한 자단(열대 상록 활엽 교목)을 대거 중국으로 넘기려던 중국인 등 7명을 체포하고, 15톤 상당의 목재를 압수했다고 보도했다. ‘지구의 허파’ 아마존 우림이 있는 페루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페루의 환경전문 매체 몬가베이도는 최근 “채벌이 금지된 국립공원, 원주민 보호 구역 등에서 불법적으로 잘려진 목재들이 대거 페루 밖으로 수출되고 있다”며 “불법 채벌된 목재의 최대 수입국은 중국(42%)”이라고 보도했다.

페루의 아마존 우림. 한국일보 자료사진
페루의 아마존 우림. 한국일보 자료사진

보존되어야 할 야생동물도 중국인들의 약재 수요 때문에 마구 희생되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 당나귀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중국에서의 당나귀 가죽 수요가 크게 늘면서 아프리카 의 당나귀가 순식간에 멸종 위기에 빠졌기 때문이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당나귀 가죽을 고아 만든 아교는 중국에서 전통의 묘약으로 통한다. 그러나 당나귀가 귀해 소수의 부자들만이 이 묘약을 이용할 수 있었는데, 최근 소득이 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상대적으로 당나귀가 흔하고 값도 싼 아프리카로 중국 약재상이 몰려들어 곳곳에 도살장을 세우고 사냥에 나선 것이다.

가디언은 뒤늦게 나이지리아 세네갈 가나 등 9개 아프리카 국가가 당나귀 가죽 수출 금지조치를 취했지만, 불법 도축과 밀거래는 근절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오히려 당나귀 절도가 기승을 부리는 바람에 지난해 상반기 케냐에서만 당나귀 도난 규모가 1,000마리를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나마 다행인건 중국이 국제사회 비난에 조금씩 움직이고 있다는 점. 아프리카 코끼리가 멸종 위기에 내몰리자 환경보호단체가 끊임 없이 문제 제기를 했고, 중국도 이들의 요구를 수용하기 시작했다. 2016년 말 중국 내 상아 불법거래 단속에 나섰으며, 올해 1월부터는 자국 내 상아 판매를 전면 금지키로 했다. 그러나 원양어선 규제 요구에는 겉으로는 어선 수를 규제하면서, 뒤로는 어선 대형화를 추진하는 꼼수를 쓰고 있다.

더 디플로맷은 “지구촌 천연자원의 운명은 중국에 달려 있다”며 “멸종 위기종, 불법 벌목 목재에 대한 세관 검사를 강화하고 어획량을 통제하는 등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중국은 책임 있는 행동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채지선 기자 letmekno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