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바이오·헬스단지 조성...글로벌기업 120개 추가 유치
우리나라 최초로 경제자유구역이 지정된 인천시에 기존 송도ㆍ영종ㆍ청라 등 3곳 경제자유구역 이외에 추가로 3곳이 지정된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인천 서구의 서부산업단지, 수도권매립지, 강화도남단 등 3곳이 2차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앞두고 용역에 들어가거나 완료되는 등 절차가 진행중이라고 6일 밝혔다.
유 시장은 개청 15주년을 맞아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인천경제자유구역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송도·청라·영종지구로 대표되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서구·강화로 넓어지고 지정 면적도 현재 124㎢에서 140㎢로 13% 증가한다.
인천시에 따르면 우선 인천의 구도심인 서부권 서부지방산업단지는 송도 등 최근 뜨고 있는 신도심과 균형 발전을 꾀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 지정 대상에 포함됐다고 시는 설명했다.
1995년 조성된 서부지방산단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주물 분야 기업 중심의 산업단지에서 신재생에너지, 전자장비 등 기업이 들어서는 첨단산업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실제로 LG전자가 서부산단에 조성한 자동차 부품공장이 2단계 확장공사를 진행하고 있어 전후방 연관기업과 신재생에너지 분야 기업이 잇달아 둥지를 틀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인천·경기지역에서 발생한 쓰레기를 매립하는 서구 쓰레기매립지도 서부권 균형 발전에 힘을 보탠다. 유 시장은 "쓰레기매립지 5.4㎢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 글로벌 테마파크·리조트 단지로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1992년 수도권 3개 시도에서 배출된 쓰레기를 처리할 목적으로 조성된 수도권 쓰레지매립지는 서울 상암동 난지도(272만㎡)보다 규모가 큰 매립장이 4곳이나 된다. 이 중 제1매립장(404만㎡)은 2000년에 사용이 끝났고 제2매립장(381만㎡)은 수도권매립지 전체 사용기한인 2016년 말을 넘겨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제3·4매립장은 아직 손도 못 댄 상태다. 시는 굴뚝 없는 신성장 동력을 유치해 혐오시설 지역으로 낙인된 지역 이미지를 쇄신할 절호의 기회로 보고 있다.
섬 지역인 강화도 남단(9.04㎢)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가장 최북단 경제자유구역이 된다. 한국 관문인 인천공항과 강화도를 연결하는 다리가 만들어지고 대규모 의료관광단지가 들어서면 인천공항 환승객을 끌어모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인천시는 미국 뉴저지주 부동산 개발전문회사 파나핀토 프로퍼티즈와 강화도 화도·길상면 900만㎡(약 272만평)에 강화휴먼메디시티 사업을 추진하기로 업무협약(MOU)을 맺은 상태다. 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은 "영종도~강화대교 건설은 현 정부의 공약이자 정책"이라면서 "이곳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고 남북 화해무드가 조성되면 개성공단까지 연결하는 평화의 벨트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시와 경제청은 이날 경제자유구역에 글로벌 기업 120개를 추가로 유치하고, 세계 최고·최대의 바이오·헬스 단지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특히 현재 15개인 국제기구를 50개로 늘리고, 외국인 전담 진료소와 법률·세무 등의 전담 창구를 설치하는 등 국제기구 유치를 위한 최적의 입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융·복합 허브를 조성하고, 50억원 규모의 글로벌 인재 육성 장학기금도 마련한다.
송도국제도시에는 IT, BT, 메디컬 융복합, 인공지능(AI), 5G,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핵심소재부품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기업을 중점 유치한다.
영종에는 항공정비(MRO)특화단지 및 일반항공산업단지 지정과 항공정비, 운항훈련센터, 항공부품 등 국내외 기업을 유치한다.
하지만 인천경제자유역 추가 지정을 위해서 난제도 만만찮다.
경제자유구역은 시도지사가 개발 계획을 수립해 산업부 장관에게 지정을 요청하면, 산업부 장관이 관계 행정기관장과 협의하고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지정한다.
현재 전국에 8개 경제자유구역이 있지만 전체 면적의 43%가 미개발되는 등 미개발·미분양률이 높고 외국인 투자 유치 실적도 당초 목표(300억달러)의 26%에 불과해 일부 경제자유구역은 지정 해제가 가속화하고 있다. 인천시민단체들은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추가 지정 등 공공정책사업을 남발하지 말고 미래 먹거리를 가로막는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규제 완화에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원영기자 wyso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