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뉴스에 달린 댓글의 공감 클릭이 급상승, 조작 의혹이 인 네이버가 이 문제 수사를경찰에 의뢰했다고 21일 밝혔다. 사건은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대한 철저한 수사가 필요합니다’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발단이다. 청원은 평창올림픽 남북 공동 입장과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 합의를 전하는 기사에 달린 비판 댓글에 몇 분 사이에 수백 건의 공감 클릭이 나온 것을 문제 삼았다. “기사가 작성되자마자 악의적 댓글이 달리고 몇 분 지나지 않아 추천이 크게 늘어나 최상위로 노출되는 현상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이에 자체 조사로 논란이 풀리지 않을 것으로 본 네이버가 수사를 의뢰했다.
청원은 자동 실행 프로그램 이용으로 추정되는 “비정상적 댓글 및 추천”뿐만 아니라 “네이버의 도움이 있다고 의심되는 현상”까지 거론했다. 해당 기사 주목도가 높았고 문제 댓글 같은 비판 여론이 실제로 상당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조작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 시시비비는 경찰 조사에서 드러날 것이다. 다만 최근 네이버의 ‘여론 조작’ 문제가 잇따라 불거지는 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네이버는 지난해 외부 청탁을 받고 스포츠 뉴스 배치를 바꿔 대표와 창업자가 사과한 일이 있었다. 최순실 사건이 불거지기 시작한 2016년 10, 11월 삭제한 연관 검색어와 자동완성 검색어 4만여 건 중 국정농단 관련 키워드가 상당수 들어있었다는 지적도 나왔다.
네이버는 국내 검색시장의 70~80%를 차지하는 독보적 인터넷 포털이다. 네이버를 통해 뉴스를 읽고 보는 사람은 매일 1,300만 명으로 추정된다. 창업 20년에 불과하지만 이미 어떤 기성 언론도 따라올 수 없는 뉴스 소비량과 매출로 여론을 좌우하고 있다. 그만한 책임 의식을 갖고 왜곡 없는 뉴스 편집이나 불편부당한 여론 소통 역할을 해 마땅하다. 문제가 불거진 뒤 뉴스 편집 공정성을 살피는 외부 위원회를 만든다거나 뉴스 편집을 인공지능(AI)에 맡기겠다는 대책을 냈지만 그 정도로 충분한지 되돌아 볼 일이다.
이번에 문제가 된 댓글도 무분별한 인신공격성 비난의 장으로 일찌감치 사회 문제가 되어 실명제 등 관련 제도가 정비되었지만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댓글에 공감, 비공감을 표시하는 장치는 표현의 자유를 넓히는 효과가 있겠지만 그보다 이용자를 자사 사이트에 오래 머물게 하려는 상업적 논리가 앞선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뉴스 유통뿐만 아니라 댓글 운용 등에서 포털 기업의 규제를 강화하는 법제 마련 등 사회적 고민과 합의도 필요해졌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