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중증외상센터ㆍ중환자실 실태 개선 토론회
탈북 북한군 병사를 치료한 이국종 교수의 호소로 국내 중증외상센터의 열악한 현실을 개선해야 한다는 국민적 요구가 들끓었다. 여기에 이대목독병원에서 신생아 4명이 동시다발적으로 사망하는 초유의 사고가 발생하면서 중환자실 치료시스템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크다.
의료계가 ‘중증외상센터와 중환자실 실태’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대한민국 의료의 구조적 모순을 진단해 제2의 이대목동병원 사태를 예방하자는 취지다. ‘대한민국 의료, 구조적 모순을 진단한다’를 주제로 11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대한의사협회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박찬용 대한외상학회 총무이사(원광대병원 외상학과 교수)는 “2~3년 내 전문 인력 수급이 이뤄지지 않으면 권역외상센터 시스템이 무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 이사는 “권역외상센터 전담전문의들은 대부분 계약직이거나 비전임 교원”이라며 “상대적 저임금과 업무 과중, 스트레스로 인해 전담전문의 정원을 채운 권역외상센터는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복지부, 소방전문가, 외상의료진, 의료소비자, 유관학회 등이 참여하는 중앙외상위원회를 구성해 주요 결정과 문제점을 도출할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환자실 문제도 거론됐다. 서지영 삼성서울병원 중환자의학과 교수(대한중환자의학회 부회장)는 턱없이 부족한 중환자실 전담전문의 수급 필요성을 강조했다.
서 교수는 “2014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중환자실 질평가 조사에 따르면 222개 종합병원 중 80.2%인 178개 병원에 중환자 전담전문의가 없었다”며 “건강보험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사망률은 37%, 종합병원은 55%, 병원은 80%로 격차가 벌어진 것도 전문 의료인력 차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심평원으로부터 중환자실 질평가 1등급을 만족시킨 병원들은 서울(10곳), 부산(2곳) 등 12곳에 불과했다”며 “사실상 치료선택권이 없는 중환자들이 어느 지역에 거주하는가에 따라 생과 사가 갈리고 있다”고 꼬집었다.
서 교수는 “중환자실을 인력과 시설로 등급화하고 한 병원 내에서도 중환자실 별로 등급을 선택할 수 있게 하면, 유연하게 중환자실 운영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복지부, 심평원, 병원협회, 학회 등이 테스크포스를 구성해 중환자실 문제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치중 기자 cj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