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이후 5년 연속 발생
한달 앞당긴 방역대책 무색
당국의 온갖 대책에도 불구, 올해도 어김없이 조류인플루엔자(AI)의 확산세가 계속되면서 ‘백약이 무효’인 양상이다. 특히 경기도에서는 2014년 이후 5년 연속 AI가 발생, 가금류 농가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5일 경기도에 따르면 전날 경기 포천 산란계 농가를 정밀조사 한 결과 고병원성 H5N6형 AI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경기도에선 2014년 1월 안성ㆍ평택 등 4개 시ㆍ군에서 H5N8형 AI가 발병한 이래 5년 내리 겨울철이면 AI가 발생했다. 2011년 1월에도 안성 등 10개 시ㆍ군에서 H5N1형 고병원성 AI가 발병한 바 있다.
2016년에는 경기도 사육 가금류의 30%인 1588만 마리가 땅 속에 묻히는 등 최대 피해가 발생했다. 지금까지 경기지역에서만 살처분에 따른 보상비로만 모두 1694억5,000만원이 투입됐다. 올해 나갈 보상금까지 더하면 규모는 더 늘어난다. 2011부터 2017년까지 AI가 발생해 살처분 된 가금류도 2,330만 마리에 달한다.
더 큰 문제는 전국 확산 가능성이다. 지난해 11월 20일 전북 고창을 시작으로 정읍ㆍ나주ㆍ영암ㆍ고흥 등 전남과 전북 9개 오리농장에서 H5N6형 AI가 발병한 뒤 수도권인 포천 산란계 농가까지 전국적으로 퍼지는 양상이다.
매년 AI가 되풀이 되면서 정부와 지자체의 방역대책이 무색해지는 모양새다. 실제 경기도는 AI차단을 위해 예년보다 한 달 앞당긴 지난해 10월 1일부터 AI 발생에 준하는 방역대책을 수립, 시행해 왔다. 가금류 사육농가의 분뇨 처리 규정을 강화하고, 달걀 출하도 환적장을 따로 마련하도록 하는 등 AI차단에 총력 대응했다. 지난해 최대 규모의 AI피해가 발생한 뒤로 방역 예산도 대폭 늘렸다. AI발생 농가에 대한 재입식 절차도 강화했다.
그러나 이번에 AI가 발생한 포천 산란계 농가의 경우 2016년 11월 22일 AI가 발생해 사육 중인 닭을 모두 살처분하고 농림축산식품부 검역본부의 승인 등 엄격한 절차를 거쳐 지난 8월 재입식한 곳으로 알려지면서 적정성 여부가 논란이다. 방역당국은 감염경로 확인을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다.
포천시와 주변 농가들은 해당 농가 인근에 철새들이 자주 오는 큰 저수지가 있는 데다 주변에 계분공장이 있어 이런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감염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포천시 관계자는 “철새가 자주 드나드는 저수지나 습지 주변 가금류 농가들이 유독 AI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방역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전수조사를 통해 AI발생 빈도가 높은 특정 지역에 대한 사육 및 입식 제한 규제가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글ㆍ사진 이종구 기자 minju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