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는 ‘2015년 암 등록 통계’를 발표했다. 갑상선암이 크게 줄고 위암과 대장암 등도 감소하면서 전체 암 발생은 전년도에 비해 4,253명 줄었다. 하지만 유방암은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다. 또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암으로 진단 받은 사람이 5년 이상 생존할 확률은 70.7%로 나타났다. 암환자 10명 중 7명은 병을 이겨내고 일반인처럼 살 수 있다는 뜻이다. 특히 국가 암 검진 대상 암종(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은 미국이나 캐나다보다 생존율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암을 경험한 사람, 즉 암을 치료 중이거나 암이 완치된 사람은 2015년 기준으로 160만 명을 넘어섰다
그런데도 암은 지난해 한국인의 사망 원인 1위다. 국가 암 관리 정책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정부는 1996년부터 두 차례의 10개년 암 정복 계획과 2016년 제3차 국가암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해 수행하고 있다. 그 결과 암 생존율은 10년 전(2001~2005년, 54.0%)에 비해 16.7%포인트 높아졌다.
그 동안의 국가 암 관리 정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암 관리 정책은 암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해서 잘 치료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즉 금연, 금주, 타거나 짠 음식 피하기 등 건강한 생활습관 중심의 암 예방 수칙을 만들고, 5개 암(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국가암검진 프로그램도 도입했다. 저소득층 대상 암환자 의료비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제3차 종합계획부터 암 생존자에 주목해 대책을 마련했다. 한번 암이 발생하면 치료 후에도 재발과 후유증 위험이 커지고,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 고통도 상당하기 때문에 건강관리나 심리상담 등 종합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래서 올 하반기부터 국립암센터와 6개 지역암센터에서 암 생존자 통합지지 시범사업을 시작했고, 내년에는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모델도 새로 개발할 예정이다.
호스피스 서비스도 강화할 계획이다. 암환자를 대상의 호스피스 서비스를 말기 후천성면역결핍증,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 만성간경화 환자 등 3개 질환으로까지 대상을 확대하고, 환자들의 요구를 반영해 가정이나 일반병실에서도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가정ㆍ자문형 호스피스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시범사업 평가를 거쳐서 한국형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갈 것이다.
폐암 조기검진도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폐암은 많이 나타나고 사망률도 높은데, 조기에 발견할수록 생존율이 높지만 효과적 검진방법이 제시되지 못했다. 올 4월부터 폐암검진을 국가 암 검진으로 도입할 수 있을지를 검토하는 시범사업을 시작, 국립암센터를 포함한 전국 14개 기관에서 만 55~74세 사이 매일 1갑씩 30년 이상 흡연한 경우 등 고위험군에게 저선량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을 활용한 검진을 실시한다. 2018년까지 시범사업을 거쳐서 2019년부터 본사업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지난해 대장암 사망률이 위암을 앞지르면서 대장암검진 본인부담을 없애는 등 대장암 조기발견 정책도 강화한다.
이 밖에도 암 발병과 치료법 등의 연구 활성화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가 암 데이터베이스 및 지역별 암 발병률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등의 암 관리 인프라도 지속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다.
다만 이런 정책만으로 국민 건강수준이 높아지는 게 아니다. 국민 각자가 암도 예방할 수 있음을 인식해 일상생활에서 암 예방수칙에 따르고, 주기적으로 암 검진을 받는 등 건강관리에 관심을 갖는 게 매우 중요하다. 정부와 국민이 함께 노력한다면, 암 정복도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차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