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공기관 직원 등 중산층 두터운 덕으로 분석
대기업 본사나 대규모 공장이 거의 없는 세종시의 소득수준이 전통의 고소득 지역인 서울, 울산과 어깨를 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부처 공무원 및 공공기관 종사자 등 중산층이 두텁게 형성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4일 통계청의 ‘2016년 지역소득(잠정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세종의 1인당 개인소득은 1,903만원으로 집계됐다. 여기서 개인소득이란 가계의 총 가처분소득(세금ㆍ이자 등을 내고 나서 실제 쓸 수 있는 돈)을 가리킨다.
전국 시도의 생산ㆍ지출ㆍ소득 등을 공표하는 통계청 지역소득 조사에서 세종이 따로 집계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종의 통계는 지난해까지 과거 행정구역에 따라 충남ㆍ북 지역소득에 포함됐다. 결국 다른 시도와 비교한 세종의 상대적 소득 수준이 정확하게 파악된 첫번째 해인 셈이다.
세종의 1인당 개인소득은 전국 평균(1,785만원)을 훌쩍 뛰어넘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순위로 보면, 서울(2,081만원)과 울산(2,018만원)에 이은 3위다. 대기업 본사가 몰린 서울, 대형 제조업 공장이 밀집된 울산은 예전부터 전국에서 개인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곳이다.
세종의 개인소득은 수도권 시ㆍ도인 경기(1,791만원)와 인천(1,705만원)보다도 훨씬 많다. 주변 지방자치단체와 비교해도 압도적인데 충남(1,683만원)과 충북(1,633만원)은 물론, 울산을 제외한 광역시 중 소득 수준이 가장 높은 대전(1,776만원)마저 넘었다.
세종의 상대적 소득수준이 높은 이유는 주로 중앙부처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들이 모여 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세종시 전체산업에서 공공행정이 차지하는 비중은 23.7%로 전국 평균(7.3%)의 3배를 넘는다. 지난해 기준 공공행정 분야 월평균 소득은 390만원으로 전체산업 평균(281만원)보다 38.8% 많았다.
한편 특정 지역 내 생산활동의 총량을 보여주는 지역내총생산(GRDP)을 봐도, 세종의 경제활동은 다른 시도에 비해 훨씬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세종의 명목 GRDP는 11.4% 증가해 충남(12.5%)에 이어 전국 2위였고, 지난해에도 6.5%로 전국 증가율(4.5%)을 크게 넘어섰다.
경제활동이 활발한 것은 인구가 급증하고, 건설업이 호황을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기준 세종 인구는 27만6,879명으로, 1년 전에 비해 15.1% 급증했다. 정부 및 공공기관 청사, 아파트 등 신규 건설이 이어지면서 건설업이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1%로 전국 평균(5.8%)을 크게 넘어섰다. 세종=이영창 기자 anti092@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