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업계 종사자 82%가
6년5개월 만의 금리인상 점쳐
국고채 금리도 이미 인상폭 반영
경기-소비심리 회복 등 여건 마련
가계부채, 美금리인상 예고도 부담
시장은 내년 인상 횟수에 관심
기준금리가 결정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30일)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시장의 관심은 이미 금리인상 여부보다 오히려 내년 금리인상의 속도에 더 쏠리는 분위기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금통위에서 이일형 위원의 ‘인상’ 소수의견과 함께 이주열 한은 총재가 “금융완화 정도를 줄여나갈 여건이 성숙돼 가고 있다”고 강력한 금리인상 신호를 보낸 것을 근거로 시장에선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최근 설문조사에서 국내 채권업계 종사자 100명 가운데 82%가 30일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을 점쳤다. 지난달 금통위 때 100%가 금리동결을 점쳤던 것과는 완연히 달라진 분위기다. 앞서 지난달 말 조사에서 10개 글로벌 투자은행(IB) 가운데 7곳이 ‘한국의 11월 금리인상’을 전망한 데 이어 최근엔 골드만삭스(한국이 곧 금리를 올리고, 말레이시아, 타이완 등이 2018년에 뒤따를 것)와 하나금융투자(한은이 만장일치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 등 국내외 기관들도 보고서를 통해 금리인상론에 힘을 보태고 있다.
시장금리도 이미 기준금리 인상을 선반영한 상태다. 지표금리로 통하는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지난달 금통위 직전인 10월18일 연 1.935%에서 27일 2.153%로 이미 기준금리 인상폭(통상 0.25%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한은이 이달 기준금리를 올리면 2011년 6월 이후 무려 6년 5개월 만의 금리인상이 된다.
이는 한은의 인상 신호 외에도 여러 경제여건이 금리인상에 우호적이기 때문이다. 3분기 깜짝 성장률(전분기대비 1.4%)을 토대로 올해 우리나라 경제는 3% 이상 성장이 유력시되는데다, 1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ㆍ112.3)가 6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을 만큼 소비심리도 나쁘지 않은 상태다. 우려가 컸던 중국과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갈등과 북한 위험(리스크)도 최근에는 잦아든 상태다. 1,419조원(3분기말 기준)까지 불어난 가계부채는 “더 이상의 저금리는 곤란하다”는 공감대를 넓히고 있고, 미국의 12월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시되는 점도 한은에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의 환율 급락세가 금리인상으로 더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지만 다른 요인들을 뒤집을 만한 정도는 아직 아닌 상황이다.
때문에 시장에선 오히려 내년 금리인상의 속도와 횟수에 더 관심을 두는 분위기다. 바로미터는 이달 금통위에서 금리인상에 반대하는 소수의견이 나올 지 여부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30일 인상에 이어 내년 7월쯤 한 차례 추가인상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금리 동결 때와 달리, 오랜만에 인상이나 인하를 할 때 소수의견이 나오는 건 시장에 오히려 혼란을 줄 수 있다”며 만장일치를 전망했다.
반면 김명실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년에도 상ㆍ하반기 2차례 추가 금리인상을 예상한다”면서도 “그간 줄곧 금리동결을 고수해 온 금통위원들이 있어 이 총재가 향후 완만한 금리인상을 강조하지 않는다면, 소수의견 제시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김용식 기자 jawohl@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