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정부ㆍ제도 개입이 스포츠산업 발전 저해" 스포노믹스 포럼 '패널 토론'
알림

"정부ㆍ제도 개입이 스포츠산업 발전 저해" 스포노믹스 포럼 '패널 토론'

입력
2017.11.08 18:49
0 0

8일 열린 스포노믹스 포럼에서는 ‘스포츠산업 일자리 8만개 창출,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주제로 패널 토론이 열렸다. 왼쪽부터 진행을 맡은 신화섭 한국스포츠경제 스포츠부장, 패널로 참석한 임영아 문체부 스포츠산업과장, 김승곤 대한체육회 정책연구센터장, 유의동 국민체육진흥공단 스포츠산업지원센터장, 신문선 명지대 교수, 심찬구 스포티즌 대표, 김찬무 SK 와이번스 팀장.

임민환 기자 limm@sporbiz.co.kr

[한국스포츠경제 신화섭] 지난 7월 말 문화체육관광부는 ‘체육인 진로지원 통합센터’ 개소식을 열었다. 그동안 대한체육회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각각 운영해온 체육 분야 교육•연수와 취업 지원을 통합해 한 곳에서 원스톱으로 지원하려는 취지다. 개소식에서 도종환 문체부 장관은 “2022년까지 스포츠산업에서 양질의 신규 일자리 8만 개를 창출하기 위해 창업 기업을 지원하고 스포츠 신시장을 개척하겠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떠오른 스포츠산업은 일자리의 ‘신대륙’이기도 하다.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지닌 스포츠산업을 활성화하면 국가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아울러 은퇴 선수들을 생활체육 지도자로 활용하면 서로 윈윈의 효과를 거두게 된다. 한국스포츠경제가 8일 개최한 ‘2017 스포노믹스 포럼’의 패널 토론 주제를 ‘스포츠산업 일자리 8만 개 창출, 어떻게 가능한가’로 정한 이유다.

정부와 체육계, 학계, 스포츠마케팅 전문가 6명이 참여한 이날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스포츠산업 일자리의 현황과 발전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발제자로 나선 유의동 국민체육진흥공단 스포츠산업지원센터장에 따르면 2015년 현재 스포츠산업 규모는 관련업체가 9만3,350개, 매출액은 65조1,450억원에 달한다. 매출의 경우 연평균 13.7%의 성장률을 기록 중(이상 문체부 ‘2016 스포츠산업실태조사’)이다.

스포츠산업 종사자는 2015년 현재 총 29만 명으로 집계됐다. 경기 및 오락스포츠업 종사자가 16만3,500명(56.4%)으로 가장 많고,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교육기관이 47만7,000명, 운동 및 경기용품 유통 임대업이 44만8,000명 순이었다.

유 센터장은 그러나 “스포츠산업은 일자리 창출률과 소멸률이 모두 상대적으로 높다”며 “특히 다른 산업에 비해 창출된 일자리의 유지율이 낮다. 이는 안정성이 그만큼 낮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스포츠산업 창출 일자리의 1년 지속률은 69.5%, 2년 지속률은 54.1%로 각각 전 산업 평균 70.4%와 57.4%보다 낮았다. 이에 유 센터장은 “일자리 창출 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위해서는 각 하부산업별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에 참여한 신문선 명지대 스포츠기록분석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스포츠산업 일자리 정책에는 거시적 시각이 필요하다”며 1960년대 독일의 스포츠클럽 정책인 ‘골든 플랜’을 예로 들었다.

일자리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안들도 활발하게 제시됐다. 김승곤 대한체육회 정책연구센터장은 “은퇴 선수들을 체육 지도자로 활용하면 노인체육과 생활체육 발전에도 보탬이 된다”며 “아울러 관련법 개정을 통해 공공기관뿐 아니라 규모를 갖춘 일반 기업들도 선수 출신 체육 지도자 고용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프로야구 SK 와이번스의 김찬무 스포츠컴플렉스Biz 팀장은 인천 문학경기장의 민간 위탁 운영 사례를 소개하며 “스포츠컴플렉스를 활용한 다양한 비즈니스를 추진해 내년까지 직접 고용 250명, 간접 고용 1,200명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며 “만약 국내 프로야구와 축구단 30개 가운데 50% 정도만이라도 스타디움 마케팅을 추진한다면 직접 고용 3,700명에 간접 고용 1만8,000명 등 총 2만 명이 넘는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심찬구 스포티즌 대표는 정부와 제도의 지나친 개입이 스포츠산업 발전을 저해한다고 꼬집었다. 답변에 나선 임영아 문체부 스포츠산업과장은 “생활체육 발전과 구장 활용, 국내 브랜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등에 정책 방향을 맞추고 예산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문선 교수와 심찬구 대표는 토론 말미에 추가 발언 시간을 요청해 “국민들이 스포츠를 즐기려면 무엇보다 ‘장소’가 있어야 한다”고 스포츠 시설 확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화섭 기자 evermyth@sporbiz.co.kr

[한국스포츠경제 관련기사]

[인터뷰] '범죄도시' 홍기준, 모르면 말이 되니?

[기자의 눈] 평창 동계올림픽이 진정한 ‘흑자 올림픽’이 되려면

‘LG→김현수ㆍ민병헌, kt→황재균?’ 역대급 FA 대이동 시작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