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군 설천면~하동군 금남면
새 교량 연결, 내년 6월 개통
남해군 “제2남해대교 명명을”
하동군 “충무공 또는 노량대교”
경남 남해군과 하동군이 내년 6월 개통 예정인 남해대교 옆 새 교량(남해군 설천면~하동군 금남면 연결)의 명칭 문제를 놓고 ‘갑론을박’하며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남해군은 7일 보도자료를 통해 "하동군이 경남도 지명위원회에 건의한 '충무공대교'는 이순신 장군의 시호를 따 지었다고 하지만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시호를 받은 사람은 진주성 전투에서 전사한 김시민 장군과 남이, 정충신, 김응하를 비롯해 조선 시대에만 모두 아홉 명이나 된다"고 밝혔다.
이어 "새 교량에서 맨눈으로 보이는 여수시가 이순신 장군을 대표하는 '이순신대교'를 선점해 혼란스러울 뿐 아니라, 남해안 곳곳에 충무공과 관련된 지명들이 산재해 차별화도 어렵다"고 덧붙였다. 또 “‘노량대교’는 네이버나 다음 등 포털에서 검색하면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과 동작동을 잇는 다리’로 이미 명명돼 있다"며 더욱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하동군의 이미 건설된 '창선ㆍ삼천포대교' 명칭 결정 당시 ‘제2남해대교’로 주장하는 게 마땅하고, 교량 명칭에 섬 명칭을 먼저 넣는 관례를 남해군이 어겼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며 섬 명칭을 따르는 관례를 잘 지켰다"라고 반박하고 "창선ㆍ삼천포대교라는 명칭은 연륙교로 4개의 섬을 연결한 5개 다리 구간 전체를 통칭하는 명칭으로 하나의 다리로 연결된 ‘제2남해대교’와 비교하는 것은 맞지 않을뿐더러 개별 다리 명칭을 간과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남해군은 "동양 최대 현수교로 전 국민의 자랑거리이자 세계 토목사에 큰 획을 남기고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갈 남해대교는 우리나라 근대문화유산을 대표하는 걸작이었던 만큼 신공법으로 건설한 새 교량을 '제2남해대교'로 불러 그 명성을 이어가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맞서 하동군은 지난 2일 낸 '남해군의 제2남해대교 주장은 설득력 없다'란 제목의 보도자료에서 남해군의 주장을 반박하고 나섰다.
하동군은 "남해군이 ‘제2남해대교’란 교량명칭을 주장하는 당위성으로 섬을 연결하는 교량에 섬의 명칭을 붙이는 게 관례였다면 2003년 개통한 ‘창선ㆍ삼천포대교’ 교량명칭 결정 당시 ‘제2남해대교’를 주장했어야 한다"고 꼬집으며 "남해군은 이순신 장군의 유해가 첫발을 내디딘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 유허'를 설치했고, 이순신 순국공원을 조성하는 등 이순신 장군 기념사업을 주도하는 상황에서 역사적 당위성이 있는 ‘충무공대교’나 ‘노량대교’를 거부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하동군의 주장에 대해 남해군은 ‘제2남해대교’ 명칭을 허구라며 이웃 자치단체를 깎아 내리는 발언을 한 하동군이 사과조차 하지 않아 공분을 사고 있다며 우회적으로 사과를 요구했으나 하동군은 경남도 지명위원회 결정을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도 지명위원회는 지난달 30일 열린 회의에서 제1안 노량대교, 제2안 남해하동대교 명칭이 제시됐으나, 남해와 하동군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임을 고려해 숙려기간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보류했으며, 오는 10일 다시 위원회를 열 예정이다.
한편 명칭 논란을 빚고 있는 이 교량은 부산국토관리청이 1973년 6월 설치한 남해대교의 물동량이 크게 늘자 2,522억원을 들여 19번국도 3.1㎞ 확장공사와 함께 벌인 남해군 설천면과 하동군 금남면을 연결하는 길이 990m, 폭 27.5m 왕복 4차로로, 기존 남해대교와 550m 떨어져 있다.
현재 공정률 90%로 내년 6월 개통할 예정인 이 교량에 대해 남해군은 교량명칭을 '제2남해대교'로 결정해 달라는 건의문을 경남도 지명위원회에 전달한 데 반해 하동군은 부산국토관리청에 '충무공대교'와 '노량대교' 가운데 한 가지를 교량명으로 정해 달라고 건의하는 등 두 지자체가 대립하고 있다. 이동렬 기자 dyle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