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규모 급격하게 느는데
예금금리는 묶고 대출금리 인상
금융지주사들 3분기 순익 급증
“기업금융 줄이고 가계대출 집중
생산적인 금융 활성화해야” 지적
“순이익이 3분기 연속 8,000억원을 넘겼다.”(신한금융지주)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이다.”(KB금융지주)
“3분기 만에 작년 한 해 실적을 넘어섰다.”(하나금융지주)
최근 며칠 사이 3분기 실적을 연이어 발표한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들이 저마다 ‘깜짝 실적’을 자랑하고 있다. ‘1등 경쟁’이 한창인 신한과 KB금융은 3분기까지 누적 수익이 작년보다 각각 25.1%, 63.2%씩 급증했고, 하나금융과 우리은행 역시 1년 전보다 각각 24.3%, 24.7%씩 늘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런 눈부신 실적은 계열사들의 치열한 체질 개선이나 수익원 발굴의 결과라기보다 가계대출 급증에 따른 ‘이자 장사’의 영향이 컸다. 거대 금융사들이 가계의 이자부담을 등에 업고 팡파르부터 울리기 보단 경제발전을 위한 역할에 보다 매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6일부터 이날까지 실적을 발표한 신한금융(2조7,064억원), KB금융(2조7,577억원), 하나금융(1조5,410억원), 우리은행(1조3,785억원), IBK기업은행(1조2,476억원) 등은 모두 작년 동기 대비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다. 여기엔 계열사 가운데 가장 덩치가 큰 은행의 수익성 개선이 주효했다.
하지만 은행의 이익이 불어난 건 대부분 예대마진(예금이자와 대출이자의 차이)이 작년보다 커진 영향이다. 완만한 금리상승기를 맞아 은행들이 예금금리는 되도록 묶어두면서 대출금리는 적극적으로 올렸기 때문이다. 실제 작년 3분기와 올해 3분기 예대마진을 비교하면, 신한은행(1.68→1.82%포인트), 국민은행(1.79→2.01%포인트), 하나은행(1.34→1.47%포인트), 우리은행(1.69→1.84%포인트), 기업은행(1.86→1.92%포인트) 할 것 없이 모두 확대됐다.
이에 따라 은행의 핵심 수익지표인 순이자마진(NIM)도 같은 기간 국민은행이 1.58%에서 1.74%로, 하나은행은 1.38%에서 1.52%로, 우리은행은 1.41%에서 1.51%로 각각 올랐다. 금리는 예전보다 상대적으로 낮지만 가계 빚 규모가 급격히 늘면서 은행들이 박리다매 구조로 엄청난 이자 수익을 챙기고 있는 셈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10ㆍ24 가계부채 종합대책 등으로 향후 대출액이 다소 줄어들 수는 있겠지만 금리는 인상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대출이자 등 수익은 크게 줄어들 것 같지 않다”며 “대부분 은행들이 올해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물론 사업 다각화를 통한 수익향상도 일부 눈에 띈다. KB금융은 지난해 현대증권을 인수한 후 증권업 수익 수수료가 늘면서 누적 순수수료 이익(1조5,222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37.4% 증가했다. 증권과 손해보험 등 비은행이 당기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27.0%에서 올해 33.8% 늘었다. 신한금융 역시 비은행 계열사 순익 비중이 작년 35%에서 올해 40%로 늘었다.
하지만 이자수익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은 여전하다. 이순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은행들이 외환위기 이후 기업금융을 줄이고 가계 주택담보대출 등에 집중하는 경향이 심해졌다”고 꼬집었다. 그는 “은행 스스로 매출전망, 특허권 같은 무형의 기업가치를 평가하거나 자산담보부대출 방식을 적극 활용하는 등 창의적 방법으로 좀 더 생산적 금융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아름 기자 sara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