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북 압박 목적은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펜스 부통령, 설리번 국무부 부장관도 외교 해법 강조
안호영 주미대사는 16일(현지시간) 북한 핵·미사일 문제와 관련해 “미국의 책임 있는 관리들은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하면서도 군사적 옵션으로 가기 전에 할 수 있는 일이 많이 있다는 것을 일관되고 설득력 있게 이야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 대사는 이날 워싱턴 주미대사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대북 전략에 대해 이렇게 전했다. 그는 “트럼프 정부의 (대북) 제재와 압박의 목적은 결국 북한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라며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이든,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든, 모두 동일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안 대사는 북핵 해법을 둘러싸고 한·미 양국 간 엇박자 혹은 균열이 있는 게 아니냐고 질문한 유기준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미국은 하나의 단면만으로 한미관계를 평가하지 않는다”면서 “한미동맹의 균열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김정은 정권 붕괴와 주한미군 철수’를 포함하는 평화협정, 이른바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의 미ㆍ중 빅딜설에 대해서는 "현재의 미국 사회에서 아이디어로서는 가능할지 모르지만, 실현 가능성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고 전했다. 정치권 일각의 '한반도 전술핵 배치' 주장에는 “우리 정부가 (미국에) 전술핵 배치를 검토하자고 한 적은 없다”고 선을 그은 뒤 “미 정부는 1991년 글로벌 차원에서 전술핵 배치를 검토했으나 군사적 효용성과 외교적·정치적 함의 때문에 하지 않기로 정리한 바 있다”고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다.
한편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과 만나 “미국은 외교적이고 경제적인 수단을 통한 평화적 해법과 오랫동안 추구해온 핵 없는 한반도라는 목표의 달성을 희망하면서, 평양의 정권을 겨냥해 전방위적인 미국의 힘을 계속 쏟아부을 것”이라며 외교적 해법을 강조했다. 방한을 앞두고 있는 존 설리번 미국 국무부 부장관도 17일 “우리는 (북한과의) 직접 대화 과정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AP 통신 등에 따르면 일본 도쿄를 방문 중인 설리번 부장관은 이날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회동한 뒤 이같이 말했다. 설리번 부장관은 “국무부의 포커스는 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외교에 맞춰져 있다”면서도 “만약 외교가 실패할 경우 우리는 일본과 한국의 동맹들과 함께 최악의 사태에 대비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전제를 달기는 했지만, 지난달 30일 “북한과 두세 개 정도의 채널을 열어두고 있다”는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의 ‘북미 직접 대화론’과 맥을 같이 하는 발언이다. 내달 초 한중일을 포함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아시아 순방을 목전에 두고 고위급 당국자가 직접 대화론을 다시 꺼내 든 것은 미 행정부 내 대북정책 혼선을 수습하고 북한과의 협상을 실제 옵션으로 검토 중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워싱턴= 송용창 특파원 hermeet@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