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치료센터 등 활용 요양산업 집중 육성
강원연구원 “청정 자연환경 활용 경쟁력 커”
폐광지에선 광업 대체산업으로 요양시설 유치
‘문재인 케어’의 주요 내용 가운데 하나인 국가치매책임제. 치매환자와 가족들에 대한 사회 안전망 제공과 치료비 경감이 목적이다. 이 사업은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돼 있다.
국내 치매환자는 72만여 명으로 65세 이상 인구의 10% 가량이다. 고령화 비율이 높은 강원도내 치매환자는 8월말 현재 3만63만 명으로 전체 노인인구의 11%에 달한다. 환자수는 매년 늘어나는데 반해 치료 및 간병인력 부족현상이 이어져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정부가 직접 치매 관리에 나선 이유다.
강원도는 정부 정책기조에 맞춰 치매관련 산업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산림 등 풍족한 생태환경자원을 활용한 치료ㆍ치유센터를 조성하면 경쟁력을 갖출 것이란 판단에서다. “노인 요양시설은 더 이상 혐오시설이 아닌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촉매제로 봐야 한다”는 게 강원도의 입장이다.
강원도 밝힌 노인요양 산업화의 첫 단계는 치매안심마을 사업 활성화다. 치매환자와 가족들이 친환경적인 곳에서 인지ㆍ재활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강원도내에선 횡성 우천면 우항1리와 문암리 등 두 곳에 마련돼 있다. 강원연구원 박상용 연구위원은 “정부 주도로 조성한 네덜란드 호그벡(De Hogeweyk) 마을 같은 타운형 모델을 적용해 응용할 필요가 있다”고 국책사업 유치 필요성을 강조했다.
2009년 문은 연 호그벡 마을은 1만5,000㎡ 부지에 치료ㆍ재활시설과 마트와 레스토랑, 문화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이 마을에서 생활한 치매 노인들의 증상이 좋아진 것은 물론 복용하거나 투여하는 약물량이 줄었고, 수명도 기대치 보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강원연구원은 최근 네덜란드 호그벡 모델을 확대해 ‘강원도형 치매안심휴양복합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강원도가 자랑하는 청정 생태환경자원을 활용해 치매환자의 치유를 돕는 시설과 천연물질을 활용한 항노화 산업, 고급 실버타운 조성까지 연계하자는 것이다. 박 위원은 “비무장지대(DMZ) 인접지역과 백두대간은 활성산소 배출의 적합한 입지라는 장점을 살려 치유 및 항노화 기능을 강조하고, 영동 해안지역은 수(水)치유 비즈니스 모델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폐광지인 태백에서도 치매요양센터가 장성광업소를 대체할 산업으로 거론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5월 지역현안대책위원회가 강원랜드에 대체산업으로 치매 등 노인 요양사업 추진을 건의하면서부터다. 대책위는 노인복지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커졌고, 요양시설을 조성을 통한 고용증대, 항노화 산업 등 관련 업종의 발전계기 제공을 들어 치매요양센터 건립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요양산업의 산업적 가치에 주목한 것이다.
특히 최근 강원랜드가 “지역사회의 합의가 이뤄지면 치매 요양센터 추진에 들어가겠다”고 밝히면서 급물살을 타고 있다. 병상규모 등을 놓고 시의회 등 지역사회의 세부적인 합의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큰 틀에선 노인요양산업 유치 놓고 회의론보다는 기대가 더 크다는 분석이다.
박은성 기자 esp7@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