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전환에 따라 소요되는 누적비용을 분석한 결과 기존 원자력·화석연료의 운영과 유지를 위한 비용보다 적게 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와 이상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은 21일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는 우리가 추가적으로 감당해야 할 비용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 내용은 23일 세계자연기금(WWF)한국본부 주최로 서울 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리는 ‘한국 에너지 비전 2050’ 콘퍼런스에 공개된다. 홍 교수와 이 소장은 WWF가 발간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대한민국 2050 에너지전략’ 보고서의 연구 책임자와 연구원으로 참여했다.
이들은 한국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16 장기에너지전망’보고서의 에너지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전망 값을 기준으로 국내 에너지 잠재성을 비교 분석해 에너지 수요량 감소와 재생에너지 비중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세 가지 시나리오(점진형, 적극형, 전면형)를 제시했다. 점진형과 적극형, 전면형의 전체 에너지 공급원 중 재생에너지 비중은 각각 45%, 55%, 100%다. 발전부문 설비 증설 등 자본투자비용과 운영유지비용, 연료수입비용 등을 반영한 결과 2014년부터 2050년까지 기존 화력과 원자력 사용시 소요되는 비용이 3,152조원에 달하는 반면 수요량 감소에 따라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일 경우 비용은 최소 2,804조원에서 최대 3,141조원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홍 교수는 “3% 사회적 할인율을 적용하면 재생에너지 설비투자비가 소요되어도 연료수입비용과 환경외부비용이 낮아지면서 상쇄돼 총 누적 비용은 비슷하거나 낮아지게 된다”며 “이는 비용 추계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초통계에 대한 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제에너지기구(IEA)의 국가별 발전원별 비용 자료를 참고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우리나라 원전 밀집도는 세계 1위, 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중 가장 낮은 수준인 반면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8위라는 건 이미 알려진 사실”이라며 “방만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면 2050년에는 태양, 바람 등 100% 재생에너지 전환이 불가능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홍 교수와 이 소장은 또 “재생에너지 전환은 바이오 작물 재배, 태양광 유지관리 등 일자리와 경제성장에도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태양광과 풍력, 수송부문 전력화에 대한 투자와 인프라 구축, 전기요금제 개편, 에너지 미래 구축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3일 열리는 컨퍼런스에는 WWF 마누엘 풀가르-비달 기후·에너지 프로그램 글로벌 리더, 앨린 삭브로튼 주한 노르웨이 대사관 상무 참사관, 김성수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정책 실장 등이 참석한다.
고은경기자 scoopko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