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ㆍ중동 이권의 교두보
강대국들 군사ㆍ경제 공격적 진출
美, 안다만해 등에 기지 건설 제안
인도는 中 눈치보며 줄다리기
‘인도양의 진주’ 스리랑카 몸값 쑥
中ㆍ日, 항만개발 거액 투자 각축
태평양에 이어 인도양이 강대국들의 새로운 각축장으로 떠올랐다. 오랜 세월 강대국들의 패권 다툼의 현장으로 태평양이 뜨거웠다면, 아프리카와 중동의 무궁무진한 경제적 이권을 선점할 수 있는 교두보로서 인도양의 가치가 최근 높아지면서 주요국들의 경제력과 군사력이 이곳으로 집중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근래 들어 중동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핵심 교통로인 인도양으로 공격적인 진출을 꾀하고, 나아가 해외 첫 군사기지를 인도양 건너 아프리카 지부티에 건설하자 미국, 일본, 그리고 인도가 한꺼번에 제해권 다툼에 뛰어들면서 이 같은 형국은 더욱 뚜렷해졌다.
지난 10~17일 인도양 일대에서 인도ㆍ일본ㆍ미국 해군이 합동으로 전개한 ‘말라바르 훈련’은 역대 최대 규모라는 점에서 각국의 주목을 받았다. 세계최대 항모인 미 해군 니미츠와 인도의 유일한 항모 비크라마다디티야 등 항모 2대가 출동했고, 일본 해상자위대 최대 전함이자 항모급 호위함인 이즈모도 이번 훈련을 통해 처음으로 해외 해상작전에 나섰다.
2002년 시작된 이 훈련은 인도ㆍ미국의 합동 해상훈련이었지만 2007년 일본이 참가하기 시작했고, 간헐적으로 참가하던 일본은 지난해 정기 참가 의사를 밝히는 등 움직임이 기민해졌다. 고속성장을 하고 있는 아프리카 국가들, 일본 원유 공급의 90%를 차지하는 중동국가들과 해상교통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도양의 항행 안정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올해 말라바르 훈련에서 일본 해군이 인도 해군으로부터 (유상) 급유를 받았다며, 이는 인도ㆍ일본의 최근 좋아진 분위기를 보여주는 ‘역사적 이벤트’였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인도는 외형상 미ㆍ일과 관계개선에 속도를 내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인도양의 관문으로 전략적 요충지인 안다만해와 니코바르 제도에, 미국 측이 부두 및 항공기 이착륙장 건설을 6차례나 제안했지만 인도가 이를 번번이 거절한 것이 대표적이다. 인도가 ‘미국의 인도양 진출에 대한 중국의 우려’를 의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도 지난해 아프리카 동쪽으로부터 태평양까지 교역로를 확보하겠다는 ‘자유와 개방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발표하고, 안다만해 일대에 대한 인프라 투자를 약속했지만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인도 측이 ‘정책적 판단’을 이유로 진척시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오랫동안 비동맹 노선을 견지해온 인도가 미ㆍ일 관계 개선에 속도 조절을 하고 있는 반면, ‘인도양의 진주’로 불리는 스리랑카의 몸값은 치솟고 있다. 아베 일본 총리는 지난 4월 스리랑카 북동부 트린코말리항 개발에 900만달러 투자를 약속하면서 스리랑카에 초계함 2척도 제공하기로 약속했는데, 이는 일본이 중국 잠수함 동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이 항구의 ‘군항’으로서 가치를 높이 사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 역시 스리랑카 남부 함반토타항 개발에 15억달러 차관을 제공, 항만과 공항 건설에 나서는 등 스리랑카의 환심을 사기에 여념이 없다. 중국이 남아시아 최대 항구로 거듭날 함반토타항 관리ㆍ운영권을 확보할 경우 항구 안전 확보를 빌미로 군함과 잠수함을 기항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일본의 우려다.
중국은 이 밖에도 미얀마 차우크퓨항, 방글라데시 파이라항 등 인도양 주변 항구들에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면서 역내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최근 북동부 접경지대에서 중국과 일촉즉발 갈등이 빚어지는 상황에서 자체적으로 인도양 방어에 진력할 수 없는 인도로서는 미ㆍ일과의 협력강화를 대안으로 삼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WSJ는 내다봤다.
이왕구 기자 fab4@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