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상권을 둘러싼 대기업과 기존 상인들의 갈등은 해묵은 숙제다. 대형마트의 격주 휴일 휴무제, 대기업의 진출 업종 제한 등 제도적인 해법 등이 끊임없이 추진돼 왔지만,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갈등을 온전히 풀어내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해법이 없는 건 아니다. 충남 당진어시장은 대기업과 지역 상인들이 ‘윈-윈’에 성공한 대표적인 모델로 꼽힌다. 당진어시장은 2015년 6월 새 건물을 짓고 현대화를 했지만 2층에 공실 상태가 지속됐다. 대기업인 이마트 측에 먼저 손을 내민 건 당진시였다. 당진어시장에서 지역 상인들이 판매하는 품목과 중복될 수 있는 축산, 수산, 과일 등 신선식품은 제외하고 가공식품과 생활용품을 판매하는 생상스토어 형태의 이마트 노브랜드 매장의 입점을 요청했다. 상권이 활성화되지 않아 고심하던 지역 상인들도 흔쾌히 동의했다.
1년여 뒤인 작년 8월, 이곳 2층에 노브랜드 매장이 문을 열었다. 젊은 손님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장난감도서관과 카페, 푸드코트도 함께 입점했다.
노브랜드 입점 이후 당진어시장 방문객은 대폭 늘어났다. 노브랜드 입점 이후 당진어시장을 찾는 방문객이 40% 이상 늘어났다는 게 이곳 상인들의 설명이다. 이마트는 지난 3월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으로부터 ‘유통업 상생ㆍ협력문화 확산사업 유공’ 표창을 수상하기도 했다. 7월에는 경기 안성에 이와 유사한 형태의 상생스토어를 열 예정이다.
대형 유통업체의 배달서비스나 쇼핑 카트를 전통시장과 공유하는 것 역시 상생 모델로 꼽힌다. 현대백화점은 신도림 디큐브시티 매장이 위치한 서울 구로구의 구로시장과 남구로시장에 각각 쇼핑카트 50대씩을 지원했다. 롯데백화점도 협력 전통시장인 경남 창원 상남시장, 서울 중구 약수시장 등에 쇼핑카트를 지원하고 홍보 활동을 돕고 있다. 또 서울 강동구의 암사종합시장과 인근 마트가 협력해 운영하던 공동 배송시스템은 서울시의 정책에 따라 21개 전통시장으로 확대되기도 했다. 이제까지 진행돼 온 지원이 기존 상권의 피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서로에게 이득이 될 수 있는 긴 안목의 상생 방안 모색이 절실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노화봉 소상공인진흥공단 본부장은 “자발적인 상생협력 사례가 나타나고 있지만 아직은 대부분 정부 등의 압력에 못 이긴 보여주기식 사례가 대부분“이라며 “당장은 조금 손해가 될 수 있더라도 지역사회의 이익을 고려해 상권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가는 것이 서로에게 득이 될 거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세인 기자 san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