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영구정지 후 2022년 해체 착수
“고리 1호기, 한국 원자력산업의 역사”
오는 18일 영구정지를 앞둔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를 원전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 및 연구시설로 쓰자는 제안이 나왔다. 정지 후 단순히 해체 절차만 밟기보다 원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데 활용하는 방안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8일 서울대에서 한국원자력학회와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한국원자력산업협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고리 1호기 퇴역 기념 심포지엄’에서 연사로 나선 백원필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원장은 “고리 1호기의 기술적, 사회적, 역사적 가치를 우리 사회가 공유해야 한다”며 이 같은 제안을 내놓았다.
1977년 6월 19일 가동을 시작한 우리나라 첫 원전인 고리 1호기는 2007년 설계수명 30년이 끝났고, 10년간의 수명연장을 거쳐 총 40년 동안 전력을 생산했다. 정부가 지난 2015년 6월 고리 1호기의 영구정지를 결정함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은 18일 가동을 멈추고 핵연료를 냉각시킨 뒤 2022년 본격 해체에 들어갈 예정이다. 완전히 폐기되는 국내 첫 원전인 만큼 기술적 과정과 해체 전후 활용 방안에 관해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백 부원장은 고리 1호기가 “신진 원자력 전문인력들의 훈련을 위한 좋은 인프라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금은 원전 관련 실험들에 대부분 모형을 사용할 수밖에 없지만, 가동을 멈춘 실제 원전을 사용한다면 더 나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백 부원장은 내다보고 있다. 이를테면 “가동 중인 원전에서는 사람이 접근하지 못해 평가하기 어려운 케이블의 성능을 고리 1호기 시설을 활용하면 더 정확히 평가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방사성물질이 안전한 수준으로 제거된 뒤에는 일반인에게도 공개해 실제 원전 모습을 제한 없이 견학할 기회를 만들자고 박 부원장은 제안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원자력계 인사들은 새 정부의 탈원전 기조에 대해 우려하며 “원자력은 여전히 필요하고, 안전과 편익이 크다”는 취지의 대국민 설명서를 배포했다. 원전 관련 중소기업계 역시 이날 서울대에 모여 “700여개 원자력 공급업체에서 일하는 3만여명의 일자리를 지켜달라”고 대정부 성명을 발표했다.
임소형 기자 precar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