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제2야당인 국민의당이 16일 나란히 새 원내대표를 선출했다. 민주당에서는 3선의 우원식(서울 노원을) 의원이, 국민의당에선 4선의 김동철(광주 광산) 의원이 새 원내사령탑을 맡았다. 이들은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정의당의 기존 원내대표들과 함께 5ㆍ9 대선으로 여야가 뒤바뀐 새로운 상황에서 국회를 이끌어 가게 된다.
개혁 성향의 범친문계로 분류되는 우 신임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첫 집권여당 원내사령탑으로서 임무가 막중하다. 새 정부의 의욕적 개혁 입법은 물론 전 정부에서 넘어온 시급한 민생현안 관련 법안들이 산적해 있다. 하지만 각 당 의석 분포상 원내 4개 교섭단체 가운데 어느 한 곳이라도 협조하지 않으면 법안 처리가 쉽지 않다. 우 원내대표로선 새 정부 초기 개혁동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야당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게 필수적이다. 그는 “문재인 정부 성공의 열쇠는 여야 협치가 어떻게 되느냐에 달려 있다”면서 야당과 적극 소통하고 협조할 뜻을 밝혔다. 일단 방향은 잘 잡은 셈이지만 얼마나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국회의 원만한 운영과 협치 분위기 조성을 위해서는 청와대의 노력도 중요하다.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야당은 국정운영의 동반자”라며 “대화를 정례화하고 수시로 만나겠다”고 약속했다. 취임식에 앞서 야당부터 찾았고, 19일에는 청와대에서 여야 4당 원내대표들과 첫 회동을 가질 예정이라고 한다. 대통령이 여야 대표들과 자주 만나고 대화하겠다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과거 대통령과 정당 대표들 간의 회동이 이뤄진 뒤 오히려 관계가 나빠진 예가 적지 않았다. 만남 자체보다는 얼마나 진정성 있는 대화를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얘기다.
새 정부 들어 국회의 원활한 운영 여부는 24, 25일로 잡힌 이낙연 국무총리 인준 청문회와 29일부터 열릴 6월 임시국회가 1차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이번 임시국회에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추경 등 쟁점이 적지 않다. 야당들은 협조할 것은 협조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대선 패배 후 지도체제 개편 등 전열 재정비 과정에서 선명성을 앞세워 대여 투쟁에 치중할 가능성이 있다. 국회의 협치 운영이 말처럼 쉽지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두고 청와대와 여당은 대선 승리의 흥분에서 벗어나 한층 더 소통에 힘써야 한다. 물론 야당들도 오랜 국정 공백을 끝내고 새롭게 출발하려는 새 정부 발목을 잡으려고만 애쓰는 등 구태의연한 정략적 접근에 매달린다면 국민적 지탄을 면하기 어렵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