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의 물결이 거세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세상의 변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잖다. 일찌감치 4차 산업혁명을 추진해 온 미국과 유럽은 이미 인공지능(AI)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것은 물론 감정까지 갖게 될 로봇이 결국 인간의 명령을 듣지 않고 독자판단을 할 때 영화 ‘로보캅’이나 ‘터미네이터’ 시리즈처럼 무자비한 살상기계가 인간과 대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각국의 AI 전략도 상이하다. 특히 우리와 많은 부문에서 경쟁하고 있는 중국의 AI 발전 전략과 현황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우리가 추구해야 할 AI 전략을 정립해야 한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과학기술부 등 4개 부처는 지난해 5월 공동으로 ‘인터넷+인공지능 3년 행동실시방안’을 발표했다. 국무원이 제정한 ‘인터넷+행동지도의견’에서는 AI를 신성장산업의 주요 분야로 삼았다. 중국은 이를 통해 향후 3년간 AI 가구, AI가 내장된 웨어러블기기, AI로봇 등 3개 영역을 발전시키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AI 전략은 약점과 문제점도 노정하고 있다. 첫째, 수많은 AI기업과 지방정부가 1~3년의 단기성과에만 집중한 나머지 장기적인 발전계획에는 소홀한 상태다. 둘째, 중국의 AI연구는 선진국에 비해 늦게 시작됐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AI기술이나 특허, AI기준제정 준수 과정 등에서 비싼 수업료를 치르고 있다. 셋째, 중국은 ‘AI제조 2025’, ‘로봇산업발전기획 2016~2020년’ 등의 법안을 제정했지만 전국인민대표대회 차원의 AI육성 법률은 아직 제정하지 못했다. 넷째, 비록 중국이 AI산업에 대한 재정지원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가장 필요한 분야는 제대로 지원을 받지 못해 효율적 재정지원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다섯째, AI 분위기에 편승해 무인항공기(드론)나 무인차량개발 등의 업체가 난립하는 바람에 머잖아 상당수 기업이 도태할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중국에서는 과거 인지능력에 관한 철학연구가 AI연구를 대체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AI는 인지능력과 관련이 있지만 철학은 아니다.
중국의 AI언어산업은 지난해 59억위안(약 9,600억원) 규모까지 성장했다. 중국 정부의 AI언어기술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 AI언어기술 정보기술(IT) 기업의 끊임없는 기술혁신, 4G 네트워크의 보급 등이 그 배경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알리바바, 바이두, 텅쉰 등 중국의 대표적인 IT 기업들도 AI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이 AI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무엇보다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먼저 AI분야의 교육과 인재 육성을 국가교육의 중심으로 끌어올려야만 한다. 대학 학과 수업을 통해 AI산업교육을 진행해야 하고, 직업기술학원, 인공지능 관련 학원을 활성화하는 것은 물론, 초ㆍ중ㆍ고에서도 AI 간접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AI과학기술부처 신설을 통해 이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
AI산업 육성에서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다. 국책 및 민간연구소가 AI 제품개발과 혁신을 주도하고, 초중고 및 대학, 기업에서 AI 관련 장려 제도를 활성화해 좋은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전폭적 자금지원을 해줘야 한다.
AI 관련 플랫폼 제공도 강화돼야 한다. 로봇개발, 전자금융, 훈련개발, 물류시스템, 교통통제제어, 도심시정운영 등의 부문에서 AI개발플랫폼이 제공돼야 한다. AI 관련 신제품의 기술표준화 작업도 서둘러야 한다.
미래 한중 대결의 승패는 결국 AI 기술력이 좌우할 것이다. AI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다.
김종우 강남대 글로벌학부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